철강·車 등 품목 관세는 유지
뉴욕증시 ‘역대급’ 폭등 마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에 정면으로 나서는 중국에 대해선 관세율을 104%에서 125%로 더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이 세계 시장에 존중을 표하고 있지 않은 관계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즉각 125%로 인상한다"며 “희망컨대 머지않은 미래의 어느 시점에 중국이 미국과 다른 나라를 갈취하던 날들은 더는 지속 가능하지 않고 용납되지도 않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을 뺀) 75개 이상 국가가 무역, 무역장벽, 관세, 환율 조작, 비통화적 관세 등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에 연락을 취한 점, 미국을 향해 보복조치를 취하지 않은 점을 감안했을 때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즉각 중단하고 관세율을 10%로 낮추기로 승인했다"고 덧붙였다.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게 한시적이지만 관세율을 전격적으로 낮춘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도 90일간 기존 25%에서 10%로 낮아지게 됐다.
다만 철강 및 알루미늄과 자동차 등에 대한 25%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백악관 관리가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상호관세를 유예한 것과 관련 “사람들이 조금 잘못된 방향으로 뛰어가고 있다고 생각했다"며 “그들은 약간 겁에 질린 듯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중국과 협상을 위해 대중 관세율을 더 올릴 계획을 묻는 질문에 “상상할 수 없다"며 “더 이상 올릴 필요가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언젠가 전화가 올 것"이라며 “이는 중국, 미국, 전 세계와 인류에 좋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정부의 관세 조치가 결과적으로 중국을 겨냥하기 위한 것이냐는 취지의 질문에 “이것은 나쁜 행위자에 대한 것"이라면서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이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했다는 점 등을 언급했다.
또 그는 무역 전쟁의 구도를 '전 세계 대 중국'으로 가져가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난 무역 전쟁이라고 부르지 않지만, 중국이 확전했고,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용감하게 대응했다"면서 “우리는 교역 파트너들과 함께 해법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맞대응 조치에 대응해 전날 대중국 상호관세를 34%에서 84%(총 104%)로 올렸으며 이날 다시 21%포인트를 높였다.
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해 동일한 관세를 부과하는 보복 조치를 단행하면서 미국 여행 자제령도 내리는 등 미국의 조치에 대해 물러서지 않고 전면적으로 맞서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90일간 상호관세 유예 발표 소식이 전해지자 뉴욕증시는 수직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87% 상승한 4만608.45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52% 폭등한 5456.90,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2.16% 폭등한 1만7124.97에 장을 마쳤다.
나스닥지수는 2001년 1월 이후 24년 만에 가장 크게 올랐고 다우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하루 최대, S&P500 지수는 2008년 이후 하루 최대의 상승폭을 기록한 역대급 상승 랠리가 펼쳐진 것이다.
공교롭게도 뉴욕증시 지수가 반등하기 전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지금은 매수하기 딱 좋은 시점"이라고 글을 올렸다. 상호관세 90일 유예를 앞두고 '힌트'를 준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