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왼쪽),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향해 햡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 세계를 향한 고율의 관세 폭탄으로 시장 반발이 이어지는 와중에 관세 전쟁의 핵심 타깃인 중국이 예상과 다르게 버티는 모습을 보이자 트럼프 대통령이 초조해지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블룸버그통신, CNN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공은 중국 코트에 있다"며 “중국은 우리와 협상을 해야 하지만 우리는 중국과 협상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다른 나라보다) 훨씬 큰 것을 제외하곤 중국은 다른 나라와 차이가 없다"며 “중국은 다른 나라처럼 우리가 갖고 있는 것을 원한다. 즉 그들은 우리 돈이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레빗 대변인은 “대통령은 중국과의 협상에 열려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중국은 미국과 합의에 나서야 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이어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과 진행되고 있는 관세 협상과 관련해 70여개국이 미국과 접촉했다는 점을 재언급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최소 15개의 제안서를 검토 중이고 그가 직접 합의문에 서명하고 싶어한다"고 했다.
이어 “해야 할 일이 많지만 우리는 일부 협상에 대해 매우 곧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하면서도 어느 국가와의 합의가 임박했는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날 발언은 미중 무역협상이 교착 상태를 이어가는 와중에 나왔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미국의 145% 관세 폭탄에 대한 대미(對美) 제재를 확대해 긴장감은 오히려 격화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자국 항공사들에게 미국 보잉으로부터 항공기와 부품을 인도받지 말라고 지시를 내렸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흥미롭게도 중국은 보잉과의 큰 거래를 어겼다"라고 비판했다.
미·중 무역협상이 지금처럼 흘러가면 오히려 트럼프가 초조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늘어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시진핑이 트럼프보다 더 강력한 카드를 많이 들고 있다며 트럼프가 초조해질 수 있다고 짚었다.
뉴욕타임스(NYT)는 중국이 수출 통제 조치에 들어간 6개 중희토류는 사실상 중국에서만 정제된다며 “중국이 미국 국방력의 중국 의존성을 상기시켰다"고 지적했다.
이렇듯 미중 양국이 관세를 두고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는 가운데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기 위해 뉴욕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을 퇴출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미 정치매체 폴리티코가 이날 보도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지난 9일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중국 기업의 미국 증시 상장 폐지 가능성과 관련해 “난 모든 게 테이블 위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릭 스콧 상원의원(공화·플로리다)은 최근 폴 앳킨스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지명자에 서한을 보내면서 “중국 기업들이 우리 규정을 따르기를 거부하면서 계속해서 미국 자본에 대한 접근을 누린다는 게 걱정된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기업의 증시 퇴출을 추진하면 관세 정책으로 이미 불안해하는 금융 시장이 더 요동칠 우려가 있다. 뉴욕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은 286개며 시가총액은 총 1조1000억달러에 이른다.
주미중국대사관 류펑위 대변인은 폴리티코에 “중국 기업과 중국 시장을 배제하면 궁극적으로 미국 자신의 경제 이익과 국제 신뢰성에 손해를 입힐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