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홀딩스, 태양광 폴리실리콘 美관세 면제로 中과 경쟁서 앞서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17 14:58

미국 자체 생산 어려운 상품 1039개 관세 제외
태양광 폴리실리콘 및 웨이퍼 포함, 중국산은 부과
OCI홀딩스, 말레이 폴리실리콘 3.5만톤 생산 수출
“아직 트럼프 정부 불확실성 해소 안돼, 상황 관망 중”

OCI홀딩스.

▲OCI홀딩스.

태양광셀 기초원자재인 폴리실리콘을 수출하는 OCI홀딩스가 중국 기업과 경쟁에서 앞서 나갈지 주목된다. 미국이 태양광 소재인 폴리실리콘과 웨이퍼를 상호관세 면제 품목에 포함한다는 소식이 들리면서다.




17일 태양광업계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정부는 태양광 원재료인 폴리실리콘과 웨이퍼를 1039개 관세 면제 품목(HTSUS)에 포함시켰다.


미국 정부의 통합 관세율표인 HTSUS(Harmonized Tariff Schedule of the United States)에 따르면 미국 내 자체 생산이 어려운 희귀광물 및 에너지 분야와 백신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 등 총 1039개의 상품이 관세 면제 목록에 올랐다.



이 가운데 28046100번 '순도 99.99% 이상의 실리콘 제품'과 38180000번 '전자 사용을 위해 전자기기, 디스크, 웨이퍼 등의 형태로 도핑 처리한 화학 제품'은 태양광 폴리실리콘과 웨이퍼에 해당한다.


반면, 중국산 폴리실리콘에는 미국의 대중 반덤핑 관세 등이 별도 부과된다. 결국 OCI홀딩스가 관세로 보면 중국 제품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OCI홀딩스는 말레이시아 공장에서 연간 3만5000톤 규모로 폴리실리콘을 생산해 미국 등에 수출하고 있다. 특히 말레이시아 공장은 풍부한 현지 수력발전 전력을 사용해 RE100(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도 100% 달성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점도 얻고 있다.


이날 태양광 원재료가 미국 관세 대상에서 제외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OCI홀딩스 주가는 이날 오후 14시 55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15.99% 오른 6만8900원에 거래 중이다.


다만, OCI홀딩스는 신중한 입장으로 상황을 관망 중이다. 트럼프 정부의 불확실성이 아직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태양광 산업이 순항하리라고 단정하기는 이르다 보고 있다.


OCI홀딩스 관계자는 “아직 태양광 시장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으로 보고 있다"며 “불확실성이 해소돼 폴리실리콘 수요가 늘어나면 실적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OCI홀딩스는 지난해 미국 대선 등의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으로 태양광 폴리실리콘 수요가 줄어들어 영업이익이 급감했다.


OCI홀딩스의 지난해 경영실적 자료에 따르면 연결기준으로 매출은 3조577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35%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020억원으로 80.9% 급감했다. 특히 4분기에는 영업손실 1078억원을 내며 적자로 전환됐다.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