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파월 항상 늦고 느려…임기 빨리 종료돼야”
美 언론들, “트럼프 파월 해임 방안 검토”
칼시·폴리마켓 등 베팅사이트에서도 ‘파월 해임 베팅’ 증가
美 재무 등 “경제적 파장” 경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에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해임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파월 의장의 해임은 미국에 대한 신뢰를 훼손시켜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파장이 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 CN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내가 그에게 (나가라고) 요구하면 그는 그곳(연준)에서 나갈 것"이라며 “그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점을 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일을 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는 항상 늦고 느리다"며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빠른 속도로 나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앞서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유럽중앙은행(ECB)는 7번째 기준금리 인하에 나섰는데 (결정이) 항상 늦고 틀린 연준의 파월은 어제 또하나의 전형적인 엉망진창 보고서를 냈다"며 “유가와 식료품(심지어 계란까지) 가격은 하락하고 미국은 관세로 부유해지고 있다"고 적었다.
이어 “너무 늦는 (파월은) ECB처럼 예전부터 금리를 내렸어야 했고 지금이라도 금리인하에 나서야 한다"며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되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또 블룸버그에 따르면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측근들에게 파월 의장을 해임하는 가능성에 대해 묻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소식통은 이어 “연준의 신중한 통화정책 접근 방식을 정당화하는 파월의 수요일(16일) 연설이 트럼프 주변을 화나게 했다"고 덧붙였다.
파월 의장은 전날 일리노이주의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지금까지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면서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해임하고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를 후임으로 임명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지난해 미국 대선기간 큰 주목을 받았던 온라인 베팅사이트에서도 파월 의장이 올해 해임될 것이란 베팅이 증가하고 있다. 베팅플랫폼 칼시에선 파월 의장이 올해 해임된다는 가능성이 현재 25%로, 한 달만에 약 두 배 급증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폴리마켓에선 18%로 지난달 저점대비 4%포인트 높다.

▲제롬 파월 연준의장(사진=AP/연합)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부터 파월 의장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지만 최근들어 파월 의장이 해임될 가능성이 거론되는 이유는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거래위원회(FTC), 노동관계위원회(NLRB) 등 미국의 다른 독립 기관의 고위직들을 대통령의 권한으로 해임시켰기 때문이다.
임기가 정해져 있는 고위직 중 연방수사국(FBI) 전임 국장이었던 크리스토퍼 레이가 트럼프 대통령의 불신임을 확인한 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즈음해 자진 사퇴 형식으로 물러난 전례도 있다. 레이는 사임 당시 임기를 2년반 이상 남긴 상태였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의 해고 바람이 연준에도 불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2018년 임명된 파월 의장은 내년 5월까지 임기가 보장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해왔다. 연준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2회 연속 동결(4.25~4.5%)했다.
다만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백악관 당국자들에게 파월 의장을 해임하려는 시도는 금융 시장을 불안하게 만들 우려가 있다는 입장을 반복적으로 피력해왔다고 미국 정치전문 매체 폴리티코가 전했다.
블룸버그도 소식통을 인용해 베선트 재무장관, 케빈 해셋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경제적 파장을 이유로 파월 의장의 해임을 반대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도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해임할 경우 큰 파장이 예상된다고 경고한다. 글로벌 투자은행 씨티그룹의 나단 시츠 글로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TV에 출연해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관련해 미국이 루비콘강을 건널 경우 미국 경제와 시장에 대한 신뢰가 심각하고 영구적으로 훼손돼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에버코어 ISI의 크리슈나 구하 부회장은 “연준 독립성에 대한 위협이 갑자기 구체화하면 시장 스트레스가 심화되고 테일리스크(발생 가능성이 낮지만 현실화되면 큰 충격)가 급증해 스태그플레이션 방향으로 더욱 전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