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갈등에 ESS 위축 우려…K-배터리 반사이익 ‘기대 이하’ 전망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20 10:32

中 관세에 ESS 시장 자체 축소 우려
K-배터리, 해외 수주 다변화 노력 중

배터리형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모습.

▲배터리형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모습.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최대 245%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예고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반사이익을 기대하고 있지만 실제 수혜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백악관은 지난 15일(현지 시간) 홈페이지에 게재한 팩트시트를 통해 “보복 조치의 결과로 중국은 현재 미국에 수입되는 물품에 245%의 관세가 부과된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이러한 조치에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구체적인 세율은 미국 측에 물어보라"며 “중국은 관세 문제에 대한 엄정한 입장을 이미 수차례 명확히 했고 이번 관세전쟁은 미국이 시작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흔들리는 곳은 ESS시장이다. ESS는 AI 산업의 발전으로 미래 산업계에 필수적인 존재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특히 미국 ESS 시장은 그동안 중국산 저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90% 이상을 점유해왔다. 그러나 이번 관세 부과로 중국산 배터리 가격이 급등하면, 미국 내 ESS 프로젝트의 경제성이 크게 저하될 전망이다.




실제로 미국 ESS 시장은 전기차(EV)와 달리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규제 대상에서 제외돼 중국산 제품의 시장 장악력이 높았다.


시장조사업체 로모션 등은 “관세 인상으로 ESS 시장 자체가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관세로 인한 가격 급등이 ESS 신규 설치를 지연시키거나 축소시켜 시장 전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는 한때 삼원계(NCM) 배터리로 글로벌 ESS 시장 점유율 60~70%를 차지했으나, 최근 LFP 배터리 기반의 중국 기업에 밀려 10% 이하로 하락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은 글로벌 ESS 시장 점유율 4~5%로 6~7위권에 머물고 있다.


이번 관세로 중국산 배터리의 미국 시장 진입이 어려워지면서 국내 업체들이 대체 공급처로 부상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실제로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에 ESS용 LFP 배터리 생산라인을 구축,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삼성SDI와 SK온도 미국 내 ESS 사업 확대와 현지 생산 확대를 추진 중이다.


하지만 시장 자체가 위축될 경우 실질적 수혜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배터리 기업이 점유율을 늘릴 수 있으나, 시장 자체가 축소되면 기대만큼의 실익을 거두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미국 내 생산거점 신·증설과 ESS용 LFP 배터리 현지 생산 확대, 미국 에너지기업 및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력 강화 등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대형 ESS 공급 계약을 연이어 체결하며 시장 재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성SDI는 미국 최대 전력회사 넥스트에라 에너지에 ESS 배터리를 공급하고, SK온도 미국 현지 ESS 생산 확대를 검토 중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관세로 인한 중국산 배터리 공급 차질을 국내 기업이 일부 대체할 수 있지만, ESS 시장 성장세가 둔화되면 반사이익도 제한적일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현지 생산과 기술 경쟁력 확보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