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의 2025년형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사진 위)와 LG전자의 올인원 세탁건조기 '트롬 오브제컬렉션 워시콤보'
세탁과 건조를 한 번에 끝내는 '올인원 세탁건조기'가 가전 시장의 새로운 흐름으로 떠오르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주요 업체들이 신제품을 잇달아 선보이며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지만, 소비자들 사이에선 전기요금 부담과 층간소음에 대한 우려가 남아 있다. 과연 이러한 우려는 사실일까?
◇ '공간 절약'·'간편함' 앞세워 소비자 공략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요 가전 기업들은 세탁기와 건조기를 따로 둘 필요 없는 '올인원' 제품에 주력하고 있다. 공간 활용 효율성과 세탁·건조 전 과정을 한 번에 끝낼 수 있는 간편함을 무기로 소비자 공략에 나선 것이다.
올인원 세탁건조기는 세탁이 끝난 뒤 빨래를 꺼내 건조기로 옮기는 번거로움 없이 한 번에 세탁과 건조가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타워형 세탁기·건조기와 비교해 높이가 최대 90cm가량 낮아 상부 공간 활용에도 유리하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인원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유통 채널을 다변화하며 소비자 접점을 넓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025년형 올인원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를 공개했다. 작년 첫 제품을 출시한 지 1년 만에 내놓은 신제품으로, 기존 대비 건조 용량을 3kg 늘려 국내 최대 18kg까지 확대했다. 또한 열교환기 구조 개선과 예열 기능 강화로 건조 시간을 20분 단축한 것이 특징이다.
판매처도 대폭 확대됐다. 삼성닷컴과 삼성스토어, 하이마트 외에 이마트 130개점, 전자랜드 78개점 등 전국 약 1000개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LG전자도 올 하반기 건조 용량을 강화한 올인원 신제품 출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전기요금 폭탄? 층간소음?…타워형 제품과 비교해보니
이처럼 기업들이 소비자 접점을 넓히며 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올인원 세탁건조기가 전기요금을 급격히 끌어올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올인원 제품을 써보고 싶지만 전기료가 너무 많이 나올까 걱정된다"는 반응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소비전력 수치를 살펴보면 이런 걱정은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
삼성전자의 2025년형 '비스포크 AI 콤보'는 세탁 시 소비전력이 2100W, 건조 시 1700W 수준이다. 반면 같은 브랜드의 타워형 제품인 '비스포크 그랑데 AI 원바디 탑핏'은 세탁 2200W, 건조 2400W로 오히려 더 높다.
LG전자 제품도 마찬가지다. 올인원 모델 '트롬 오브제컬렉션 워시콤보'는 건조 소비전력이 570W로, 자사 타워형 제품인 '트롬 오브제컬렉션 워시타워'(건조 1400W)보다 훨씬 낮다. 세탁 소비전력은 올인원(2200W)과 타워형(2100W)이 비슷한 수준이다.
전자제품 사용 시 발생하는 전력 소모량을 뜻하는 '소비전력'은 전기요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전력공사 관계자는 “전자제품마다 소비전력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시간을 사용해도 전기요금은 천차만별"이라며 “비슷한 성능의 제품이라면 소비전력이 낮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요금 절감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올인원 제품에 대한 또 다른 우려는 바로 '소음'이다. 특히 아파트 생활이 일반적인 국내 주거 환경에서는 층간소음에 민감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 출시된 제품 기준으로 보면 소음 차이는 거의 없다. 삼성전자의 올인원 제품은 소음 수치가 51.7dB로, 타워형 제품(51.9dB)보다 오히려 낮다. LG전자는 구체적인 수치를 밝히진 않았지만, 올인원 세탁건조기에 국내 최초로 탑재된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칩 'DQ-C'를 통해 세탁물 분포를 자동 조정하고,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했다고 설명한다.

▲올인원 세탁건조기와 타워형 세탁기·건조기의 소비전력 비교 표.
◇ 시장 키우는 이유 '수익성'…업계 “장점 명확, 대세로 자리 잡을 것"
업계가 올인원 세탁건조기 시장 확대에 집중하는 데는 명확한 이유가 있다. 고가 제품인 만큼 수익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각 사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판매 중인 올인원 세탁건조기 가격은 대체로 300만원 중반에서 400만원 초반에 형성돼 있다. 이는 타워형 제품보다 최소 20%, 많게는 두 배 가까이 비싼 수준이다. 보다 높은 편의성과 효율성을 제공하면서도 가격을 상향 설정하는, 이른바 '프리미엄 전략'과도 일맥상통한다.
과거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흡입·물걸레 기능이 결합된 올인원 제품이 빠르게 주류로 자리 잡으며 시장 구조가 재편된 것처럼, 세탁기 시장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감도 적지 않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올인원 세탁건조기는 한 대로 세탁과 건조를 모두 해결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고,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제품"이라며, “에너지 소비효율이 높은 점도 강점으로, 이를 마케팅 포인트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처럼 다방면에서 장점을 갖춘 제품인 만큼, 향후 시장에서 대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