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또 유화 메시지…“2~3주 안에 對中관세 정할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24 08:09
USA-TRUMP/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로이터/여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 수준을 낮출 가능성을 시사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우리는 중국과 공정한 협상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을 포함해 모든 국가들에 대한 관세율을 “향후 2~3주 안에" 정할 것이라며 관세 재조정 기간은 중국에 따라 달렸다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공식적으로 개시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협상 여부 등을 묻는 질문에 “모든 것이 적극적"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우린 모든 사람들을 통해 돈을 벌 것이고 모두가 만족해할 것"이라며 “우리는 모든 국가로부터 갈취당하는 나라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미국은 중국에 145%, 중국은 미국에 125%의 관세를 각각 부과했는데, 미중간 협상이 벌어지기 전에 미국이 먼저 대중국 관세율을 자발적으로 낮추는 일은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금융연구소(IIF) 행사에서 미중 양국이 상대에게 부과하는 관세와 관련, “이는 무역 금수 조치(embargo)에 상응하는 것이며, 양국간 무역 중단은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양측 모두 관세가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관세율이 상호적으로 낮아져도 놀랍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대중국 관세율 인하를 미국 쪽에서 일방적으로 제안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관세를 현재 145%에서 50~65%로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에 대해 “(협상시 관세율이) 높게 있지 않을 것이고 상당히 내려갈 것이지만 제로(0%)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렇듯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보여왔던 강경한 대중 정책 노선에서 유턴한 배경엔 미국 기업들의 우려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월마트, 홈디포, 타겟 등 소매업체 대표들과 만난 다음 날부터 중국에 대한 공격적인 태도에서 한 발 물러섰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몇 주 안에 매장 진열대가 텅 비게 될 가능성에 공감한 것 같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이와 관련해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8시간 동안 중국에 대한 톤이 훨씬 긍정적인 게 맞느냐'는 물음에 “대통령은 협상이 진행될 경우 그 시점을 직접 발표할 것이지만, 대통령과 우리 팀은 협상에 열려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답했다.


한편,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와 관련한 일부 관세를 면제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2일부터 전세계 철강·알루미늄 및 그 파생 제품에 예외없이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범퍼, 차체, 서스펜션 등 자동차 부품도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했는데, 자동차 부품은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대상에서 빼려 한다는 것이다.


또 합성마약 펜타닐 원료의 대미 유입 근절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해온 관세(20%)에서도 자동차 부품은 면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다만 자동차 부품 중에서도 관세 면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은 내달 3일부터 25%의 관세가 예정대로 부과된다.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지난 3일부터 부과되고 있는 25%의 관세도 그대로 유지된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