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로이터/연합)
대(對)중국 관세,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해임 등을 두고 강경 기조를 이어왔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턴하는 모습을 보이자 투자자들의 불안으로 촉발된 '셀 아메리카' 현상이 중단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경제를 재편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품고 취임했다"며 “그러나 미 주식과 채권 시장의 혼란, 그리고 광범위한 관세와 연준 개입이 경제적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업계 간청에 직면하자 그의 결의는 흔들리는 듯 했다"고 보도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145%로 끌어올리면서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지만 최근엔 대중국 관세율을 내릴 뜻을 내비치기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얼마나 빨리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내릴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건 중국에 달렸다"고 답했다. 이어 “향후 2∼3주 안에 우리가 선택할 관세율을 정할 것"이라면서 “(이 관세율은) 중국에 대한 것일 수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에도 중국에 대한 관세율이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을 향해 연일 사퇴 압박성 발언을 이어왔지만 전날엔 “나는 그를 해고할 생각이 전혀 없다"며 태도를 바꿨다.
이렇듯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정책과 '파월 때리기'에 한발 물러서는 듯한 모습을 보이자 셀 아메리카 흐름이 일단 중단된 분위기다.
블룸버그 달러 지수는 지난 21일 2023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지만 지난 2 거래일 동안 1% 넘게 올랐다.
뉴욕증시를 대표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이날까지 2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했고 미 국채 시장 또한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 자산에 대한 견해도 긍정적으로 다시 전환되고 있다.
세계 최대 채권투자자 핌코의 모히트 미탈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블룸버그TV에 출연해 미 국채에 대한 투자 기회가 포착되기 시작했다며 “5~10년물에서 미 국채가 매력적으로 보이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에리크 롱바르 프랑스 재무장관 등은 미 달러화에 대한 지지 입장을 나타냈다.
롱바드 장관은 “주도적 기축통화는 미 달러화이며, 그렇게 유지되는 게 중요하다"면서 “유로화는 달러 지위에 도전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고 외르크 쿠키스 독일 재무장관도 비슷한 발언을 내놨다.
독일 중앙은행인 분데스방크의 요아힘 나겔 총재는 “안전자산으로서 미 국채에 대해 많은 의구심이 있는 것은 좋은 소식이 아니다"라면서 “우리는 양호한 미 국채 시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국채 시장 혼란에 대해 여전히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CNBC에 따르면 헤지펀드 업계 거물인 켄 그리핀 시타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세마포르 세계 경제 서밋에서 “미국은 단순한 국가 이상이자 하나의 보편적 브랜드"라며 “우리는 이 브랜드를 훼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시장에서 미 국채와 달러화에 견줄만한 브랜드는 없다"면서 “우리가 이 브랜드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지주회사 제프리스 파이낸셜 그룹의 크리스토퍼 우드 글로벌 주식 전략 총괄은 미국 증시가 이미 고점을 찍었다며 주식, 미 국채, 달러에 대한 추가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