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PS 사장 선임 시급한데…산업부 방관 언제까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28 13:41

익명의 고발인, 허상국 최종후보자 ‘업무상 배임죄’로 경찰 고발

허 후보자 “무직인데 어떻게 배임죄 되나...무고죄 맞고소 할 것”

산업부, 연이은 논란에 총리실에 최종 임명 제청 여부 두고 저울질

한덕수 대통령권한대행이 사장 임명 안하면 대선 이후로 밀릴 듯

1

▲한전KPS 본사

발전분야 최고 알짜공기업인 한전KPS의 차기 사장 선임을 둘러싸고 고발과 맞고소가 이어지며 진흙탕 싸움으로 변질되고 있다.




쟁점은 한전KPS가 신임 사장 임명 지연으로 인해 사택 월세를 지출하는 상황에 놓였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의 제청 지연이 주요 원인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탄핵과 조기대선 정국에서도 다른 에너지 공기업 인선은 속속 마무리된 가운데 유독 한전KPS 사장 선임만 장기간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고발과 맞고소 상황이 향후 절차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익명의 고발인이 허상국 한전KPS 사장 최종후보자를 경찰에 고발했다. 고발인은 “한전KPS가 차기 사장 임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택을 마련해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며, 허 후보자에 대해 업무상 배임 혐의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허 후보자는 “현재 무직 신분인 상황에서 배임 혐의는 성립할 수 없다"고 반박하며, “무고 혐의로 맞고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논란의 핵심은 한전KPS가 신임 사장 내정을 마친 후 사택을 임대해 놓은 사실이다. 허 후보자 측은 “사택 임대는 한전KPS의 내부 결정으로 진행된 것으로, 후보자가 관여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전KPS 관계자들 또한 “신임 사장이 주주총회를 통해 내정된 이후 사택을 준비하는 것은 관례"라고 설명했다.


한전KPS는 지난해 12월 12일 임시주총을 통해 허 후보자를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 하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최종 임명권자인 한덕수 대통령권한대행에 최종 임명을 위한 제청안을 올리지 않고 있다.


허 후보자는 1986년 한전KPS에 입사해 신고리1 사업소 기술실장과 한울2 사업소장을 거쳐 품질경영실장, 총무처장, 발전전력사업본부장(부사장)을 역임했다.


허 후보자는 지난해 12월에도 본인에 대한 부정적 보도가 나온 이후 소명 기회를 충분히 얻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일부에서는 이번 고발이 특정 세력의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는 확인되지 않았다.


허 후보자 측은 “한전 KPS 감사실 측도 이에 대해 확인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정식 절차를 통해 사실관계를 밝히겠다"고 전했다. 경찰은 고발 내용을 토대로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사태로 인해 한전KPS 차기 사장 선임 과정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산업부의 공정성과 형평성 논란도 함께 커지고 있다.


에너지공기업 사장 임명 주무부처인 산업부는 지난해 말 한전KPS 주주총회에서 최종후보자가 선정됐으나 탄핵정국 등이 겹치며 여전히 한 권한대행에 최종 임명을 위한 제청안을 올리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 권한대행이 끝내 사장 임명을 마무리하지 않고 6.3 대선을 위해 사퇴할 경우 사장 인선은 대선 이후로 밀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발·송전 설비 정비 전문회사이자 한전 자회사인 한전KPS는 발전분야 공기업 중 가장 알짜로 꼽힌다.


한전KPS 매출은 2020년 1조3032억원에서 2024년 1조5571억원으로 지속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354억원에서 2095억원으로 동반 증가했다.


한전KPS 영업이익률은 2024년 13.5%로 준수한 편이며, 부채비율은 27% 수준으로 매우 양호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전지성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