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후 3년 뒤 생존은 절반 불과…미용실·펜션 등 생존율 높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4.29 15:44

국세청, 생활 밀접 100대 업종 통계 분석…통신·분식·치킨·피자 생존율 낮아

실생활과 밀접한 100대 생활업종 사업자가 창업하고 3년간 생존하는 비율이 50%대 초반에 불과했다. 미용실, 펜션, 학원 등은 생존율이 높은 반면 통신판매업과 분식점 그리고 치킨·피자집 등은 낮았다. 특히 창업 후 생존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미용실이었다.




국세청이 최근 5년(2019∼2023년)간 100대 생활업종 통계를 분석해 창업 후 사업을 지속하는 비율, 즉 생존율 통계를 국세통계포털에 공개한다고 29일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100대 생활업종의 1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77.9%다. 2019년에서 2022년까지 상승세를 보이다가 2023년에 다소 떨어졌다.



3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53.8%로 나타났다. 2020년에 창업한 사업자 중 2023년까지 계속 사업한 자의 비율을 뜻한다. 나아가 5년 생존율은 39.6%였다.


결과적으로 창업하고 3년 뒤 살아남은 사업자는 절반가량 수준이나, 5년 후에는 10명 중 4명 정도만이 사업을 지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편의점

▲서울의 한 편의점에서 고객이 상품을 고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00대 생활업종 가운데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창업 관심업종 20개를 분석해보면 2023년 기준 1년 생존율이 높은 업종은 미용실(91.1%), 펜션·게스트하우스(90.8%), 편의점(90.3%)으로 집계됐다.


통신판매업(69.8%)과 화장품 가게(74.2%), 식료품 가게(77.3%)는 생존율이 낮았다. 각각 30.2%, 25.8%, 22.7%가 창업 후 1년 내 폐업한 것이다.


3년 생존율은 미용실(73.4%), 펜션·게스트하우스(73.1%)에서 높았으며 교습학원(70.1%)도 70%를 웃돌았다. 이는 100대 생활업종 3년 생존율 평균(53.8%)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반대로 3년 생존율이 낮은 업종은 통신판매업(45.7%), 분식점(46.6%), 치킨·피자집 등 패스트푸드점(46.8%) 순이었다.


생존율

▲그래픽=연합뉴스

또 연령대별로 3년 생존율을 보면 40세 미만 사업자는 미용실(73.9%)에서 높았으며, 40∼60세와 60세 이상은 펜션·게스트하우스에서 높았다. 각각 73.8%, 76.3%였다.


생존율이 낮은 업종으로는 40세 미만에서는 분식점(41.9%)이, 40∼60세와 60세 이상은 호프주점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권대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