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업·AI 성과’에 합산 영업익 1조5116억…전년比 23%↑
2분기부터는 희비 엇갈릴 듯… 유심해킹 여파·과징금 변수

▲통신 3사가 통신 및 AI 사업의 동반 성과로 1분기 나란히 호실적을 거뒀다. 하지만 2분기부터는 SK텔레콤이 해킹 사태로 인한 후폭풍에 직면하며 실적 악화가 불가피할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어, 3사의 실적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사진 = 연합뉴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올해 1분기 나란히 실적 개선세를 보이며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통신 본업의 안정적인 수익에 인공지능(AI) 등 신사업 성장과 비용 효율화가 더해진 결과다.
다만 2분기부터는 3사의 실적 희비가 엇갈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SK텔레콤이 최근 해킹 사고의 여파로 가입자 이탈과 대규모 유심 교체, 신규 가입 중단 등 복합적인 부담을 안게 되면서 실적 악화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통신 3사의 1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1조5116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2259억원) 대비 23% 증가했다.
SK텔레콤은 이날 발표한 실적에서 영업이익 5674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3.8% 늘었다. KT는 6888억원으로 36% 급증하며 시장 기대치를 웃돌았다. LG유플러스 역시 2554억원을 기록하며 15.6% 성장했다.
◇ '5G 확대·AI 신사업'이 실적 견인…'비용 효율화'도 한몫
무선 부문에서는 가입자당평균매출(ARPU) 기여도가 높은 5세대 이동통신(5G) 가입자 확대가 실적 향상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KT와 SK텔레콤의 5G 가입자 비중은 각각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78.9%, 76%에 달했고, LG유플러스도 74.8%를 기록했다.
유선 부문에서도 기가인터넷 등 고부가 상품의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AI 사업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SK텔레콤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AI DC)는 데이터 용량과 가동률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한 1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분기 기준 1000억원대 매출을 유지하며 하이퍼스케일급 AI DC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AI 전환(AIX) 부문도 27.2% 성장한 45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기업 간 거래(B2B) 기반 AI 마케팅 수주 확대 등도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KT와 LG유플러스도 인공지능 콘택트센터(AI CC) 등 AI 기반 솔루션 수주가 증가하며 기업 고객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각 사의 비용 효율화 전략도 수익성 개선에 힘을 보탰다.
KT는 물류, 블록체인, 태양광 등 저수익 사업을 정리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했고, LG유플러스는 '아이돌 플러스', '스포키'를 비롯해 스마트팩토리, 로봇, 메타버스 등 수익성이 낮은 일부 서비스를 종료했다. SK텔레콤 역시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 반려동물 건강관리 서비스 '펫토닥', 천문 콘텐츠 '스타허그' 등 사업을 정리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업 구조 개편을 통한 비용 절감 조치가 이번 실적 개선에 주효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2분기부터 SKT '변수'…가입자 이탈·과징금 부담
반면 2분기부터는 통신 3사의 실적 향방이 엇갈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SK텔레콤에서 발생한 가입자식별모듈(USIM) 정보 해킹 사고의 여파로 대규모 가입자 이탈이 발생하며 실적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달 22일 SK텔레콤이 사이버 침해 사실을 공개한 이후 이달 8일까지, SK텔레콤에서 KT·LG유플러스로 이동한 가입자는 총 27만4743명에 달했다. 영업일 기준 하루 평균 약 1만8000명 수준이다. 알뜰폰까지 포함하면 이탈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
여기에 더해 SK텔레콤은 대규모 유심 교체와 신규 가입 중단이라는 부담도 안고 있다.
정원석 신영증권 연구원은 “비관적 시나리오로 6월까지 신규 가입 제한이 지속된다고 가정할 경우, 5월 하루 1만5000명, 6월 하루 5000명의 이탈이 발생하면 연간 실적 감소분은 약 1500억원에 이를 수 있다"며 “유심 교체에 따른 일회성 비용만 해도 1000만명 교체 기준 약 400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에 따른 과징금 부과 가능성도 SK텔레콤 실적에 추가적인 부담 요인이 될 전망이다. 반면 KT와 LG유플러스는 가입자 유입에 따른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김준섭 KB증권 연구원은 “사태 추이에 따라 통신사 간 시장점유율 변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며 “SK텔레콤의 번호이동 가입자 시장에 대한 대응 여부가 향후 무선 매출액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