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논의에 없다”는데 원화 환율 하락…‘제2플라자 합의’ 나오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5 16:19

장 초반 1410원대로 반등하다 하락 마감…韓 원화 절상 요구 가능성

달러 약세에 '저가 매수' 나선 투자자들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 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미국이 한국 원화 절상을 요구했다는 소식의 여파로 원/달러 환율이 15일 큰 폭으로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관세 협상에서 달러 약세가 논의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란 소식이 전해졌음에도 원화 환율은 하락세를 이어간 것이다. 최근 대만 달러가 급격한 강세를 보인데다 일본은 미국 정부와 환율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되자 '제2의 플라자합의'가 나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25.7원 하락한 1394.5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한미 외환 당국자가 환율 협상을 위해 이달 초 만났다는 외신 보도에 전날 야간 거래 장중 1390.8원까지 급락했다.



이후 블룸버그통신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정부는 각국과 무역 협상에서 환율이 의제로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환율 논의는 오직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만 진행하며, 베선트 장관이 참석한 자리에서만 논의될 것이라고 전했다. 베선트 장관은 환율 문제를 논의할 별도의 담당자를 지정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대외적으로도 강달러 정책이 유지되고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데다 최근 중국과 고위급 협상에서 환율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고 했다.




이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원화 환율은 이날 주간 거래 장 초반 1410원대로 반등했다가 금세 낙폭을 확대했다. 장중 한때 1391.5원까지 밀리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통상 협의에 환율이 의제로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지만 시장에선 미국이 원화 절상을 압박할 가능성을 반영하는 분위기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아시아 국가들이 통화가치를 의도적으로 낮춰 미국보다 상업적 우위를 차지해왔다는 불만을 이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트루스소셜에 나열한 8가지 '비관세 부정행위'에서 '환율 조작'을 가장 첫번째로 적기도 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11월 보고서에서 한국을 '환율 관찰대상국'에 포함했다.


FX스트리트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한국과 미국의 환율 논의와 같은 소식은 달러 약세 환경에서 (대미) 무역흑자를 보고있는 국가들의 통화가 절상될 가능성을 다시 주목하게 만든다"고 밝혔다.


카로바 캐피탈의 하리스 쿠르시드 최고투자책임자는 “통화 조정 논의는 시기상조일 수 있겠지만 외환 트레이더들은 분명히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환율이 무역 협상에 포함될 여부와 상관없이 시장은 이미 달러 약세가 일어난 것 처럼 거래되고 있다"고블룸버그에 말했다.


대만 환율이 미국과 비공개 협상 이후 급격한 강세를 보였던 점도 제2의 플라자 합의에 대한 우려를 키운다. 앞서 외환시장에서 대만달러/달러 환율은 지난 2일과 5일 2거래일 동안 8% 넘게 급락해(대만달러 강세) 장중 29.458대만달러까지 떨어졌다. 지난 2일 하락률인 4.15%는 1980년대 이후 하루 기준 최대다.


이를 두고 이날 로이터통신은 “원화 환율의 갑작스러운 하락으로 이달 초 대만 통화의 전례 없는 강세가 떠올랐다"고 전했다.


여기에 카토 카츠노부 일본 재무상은 내달 캐나다에서 열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베선트 장관과 만나 환율에 논의할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단기적으론 아시아 통화 강세 분위기 속 원/달러 환율이 추가로 하락할 거능성이 나온다. FX스트리트는 “펀더멘털 전환에 따른 중대한 변화가 일어나면 원/달러 환율은 1360원 아래에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반면 인터치 캐피탈 마켓의 케이란 윌리엄스 아시아 외환 총괄은 “한미 환율 논의 소식과 약달러를 용인하는 트럼프 행정부가 맞물리면서 원화 심리가 강해지고 있다"면서도 “불확실한 한국 전망과 무역 긴장으로 원화 가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고 말했다.


호주 커먼웰스 은행의 크리스티나 클리프턴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무역 협상 이후 달러인덱스가 몇 주 이내 2~3% 더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