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9일 푸틴·젤렌스키와 통화할 것”…우크라戰 휴전 성사되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8 10:22
Trump Mideast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등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19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갖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17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나는 월요일(19일) 오전 10시(한국시간 19일 오후 11시)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할 것"이라며 “통화의 주제는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5000명 이상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군인을 죽이는 '대학살'을 끝내는 일과 무역이 될 것"이라고 적었다.


이어 “그 뒤엔 우크라이나의 젤렌스키 대통령과 통화를 갖고 그 이후엔 젤렌스키 대통령과 함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여러 회원국과 대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생산적인 날이 되기를 바란다"며 “휴전이 이뤄질 것이고, 매우 폭려적인 (우크라이나) 전쟁이자 일어나지 말야아 할 전쟁은 끝날 것"이라고 밝힌 후 “우리 모두에게 신의 은총이 있기를"이라고 게시물을 마무리했다.


이와 관련,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도 미국과 러시아 정상의 통화를 위한 준비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은 지난 16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고위급 대면 협상을 벌인 뒤 나왔다. 3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이뤄진 협상이지만 1000명 가량의 전쟁 포로 교환에 합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성과 없이 종료됐으며 교환 시점 또한 정해지지 않았다.


심지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협상이 시작된 지 몇 시간 만에 러시아 드론이 우크라이나 수미 지역을 공격해 민간인 9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민간인에 대한 고의적 살인"이라며 “러시아의 살인을 멈추게 할 압력을 가해야 한다. 더 강력한 제재와 압박 없이는 러시아가 진정한 외교를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러시아는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군사 장비 집결지를 공격한 것이라며 민간인을 겨냥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번 협상에서 양측간 극명한 입장차도 재확인됐다. 로이터에 따르면 우크라 고위 당국자는 휴전을 위해 우크라 군이 도네츠크, 루한스크, 자포리자, 헤르손 등 4개 지역에서 철수할 것을 러시아가 요구하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이들 4개 지역은 현재 러시아군이 일부 또는 대부분을 점령 중이다.


당국자는 이어 러시아가 내건 다른 조건들은 미국이 지난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에 제시한 종전 방안에 적시된 합의 수준을 넘어섰다고 덧붙였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정상회담 가능성도 거론됐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특정 합의에 도달된 경우에만 푸틴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우크라이나에 내건 조건에 대해선 “어떤 언급도 하지 않을 것"이라며 “협상은 계속되고 있으며, 완전히 비공개로 진행돼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렇듯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평화 협상에 난항이 이어지는 상황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 예고는 중재자 역할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CNN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이날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통화에서 전쟁 종식을 위한 미국의 노력에 대해 강조했다고 국무부가 전했다. 루비오 장관은 통화 이후 소셜미디어 엑스(X)에 “이번 기회를 놓지지 말자, 이 전쟁을 끝낼 때가 바로 지금"이라고 적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 별도의 게시물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를 또다시 촉구했다. 그는 “거의 모든 사람의 공통된 의견은 연준이 금리를 나중이 아닌 지금 내려야 하는 것"이라며 “하지만 너무 늦는 걸로 유명한 '투 레이트 파월'은 이번에도 또 망칠 수 있다"고 적었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의장을 향해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어진다는 뜻), '루저'(loser)라고 비판하는 등 파월 의장과 연준을 향해 금리 인하를 지속해서 압박해왔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