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신용등급 강등’ 시장 발작 없었지만…“셀 아메리카 안끝났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20 11:42
Money Matters-Net Worth

▲미 달러화(사진=AP/연합)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강등 여파로 우려됐던 글로벌 금융시장의 발작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달러 가치의 약세가 이어지는 '셀 아메리카' 현상이 끝나기엔 시기상조라고 입을 모은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모두 강보합으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32% 올랐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도 각각 전장대비 0.09%, 0.02% 상승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지난 16일 미국의 국가부채와 재정적자를 이유로 국가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강등했음에도 증시는 크게 반응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날 장중 치솟았던 미 장기 국채 수익률도 무디스의 강등 이전 금리 수준으로 복귀했다. 30년물 미 국채 수일률은 이날 한때 5.03%로 고점을 높였고 10년물 금리 역시 한때 4.5% 선을 웃돌았지만 각각 4.91%, 4.45%로 마감했다.


시장조사업체 펀드스트렛의 공동 창업자 톰 리는 무디스의 강등 조치를 두고 “빅 이벤트가 아니다"라며 증시가 약세를 보일 때마다 “공격적으로 저가 매수에 나설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미 달러화 가치가 더 추락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달러의 안전자산 지위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이번 무디스 조치로 달러 약세가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무역관련 불확실성, 재정적자 및 부채 급증, 미국 예외주의에 대한 신뢰 약화가 미국 자산에 무게를 가했고, 그 결과 달러가 피해를 입었다"며 “무디스가 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하자 달러가 매도 압력을 다시 받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실제 이날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 6월 선물은 전 거래일보다 0.65% 내린 100.28에 거래를 마쳤다.


콘베라의 조지 베시 외환 및 거시경제 전략가는 “무디스의 강등 이후 '셀 아메리카' 트레이드가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며 “밸류에이션 관점으로만 봐도 추가 절하에 대한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현재 달러인덱스는 지난 20년 평균치인 90.1 대비 약 10% 더 높은 수준에 거래되고 있다. 2022년 11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 1월(평균치 대비 22% 상승) 수준과 비교하면 달러 강세가 완화된 상황이지만 여전히 고평가돼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는 것이다. 달러인덱스가 현 주순에서 10% 추가 하락할 경우 트럼프 1기 때 저점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


미국 정부의 부채와 재정적자 등을 이유로 국가 신용등급이 강등된 상황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공약을 실현하기 위해 발의된 세제 법안이 지난 18일 하원 예산위원회를 통과한 것도 우려 요인으로 지목된다고 로이터는 짚었다. 전문가들은 이 법안이 통과되면 향후 10년 동안 미국 국가부채가 3조∼5조 달러(약 4196조~6993조 원)가량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미국의 국가부채는 36조2000억 달러(약 5경1223조원) 수준이다.


미국 경기침체 우려 또한 달러 약세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고평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지난 몇 년간 달러 강세가 지속됐던 이유는 미국 경제가 강한 성장을 이어갔기 때문인데 이런 상황이 곧 반전될 것이란 주장도 나온다. 스탠다드차타드의 스티브 잉글랜더 글로벌 G10 외환 리서치 총괄은 “최근 타결된 무역 합의는 시장을 어느정도 진정시킬 수 있지만 미국이 직면한 장기적인 신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며 “달러 약세 스토리는 끝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브랜디와인 글로벌의 잭 맥킨타이어는 소비가 견고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어 미국 경제가 성장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지만 달러가 오르면 추격 매수보다 매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