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다음’ 떼어내는 카카오…경쟁력 회복이 매각 판가름할듯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22 15:55

이사회서 콘텐츠 사내독립기업 분사 의결

메일·카페·검색·뉴스 등 5개 서비스 이관

카카오, 2014년 다음 합병 11년만에 분사

“다음은 카카오 안에서 구조적 성장 어려워"

경쟁력 강화 이후 장기 매각설에 힘 실려




ㄴㄴ

▲포털 '다음(DAUM)' 서비스를 담당하는 콘텐츠 사내독립기업(CIC)이 합병 11년 만에 별도 법인으로 독립한다.

카카오가 포털 서비스 '다음(DAUM)'을 별도 법인으로 분사한다. 지난 2014년 다음커뮤니케이션을 인수합병한 지 11년 만이다. 경쟁력 회복을 위해 혁신 전략을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조치지만, 향후 매각 가능성은 열려 있다는 시각도 적잖다.


카카오는 22일 이사회를 열고 다음 서비스를 담당하는 콘텐츠 사내독립기업(CIC) 분사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메일 △카페 △검색 △뉴스 △쇼핑 등 5개 서비스를 '다음준비신설법인'으로 이관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법인은 카카오가 지분 100%를 보유한 자회사로 지난 15일 설립됐다. 신임 대표로는 양주일 현 콘텐츠CIC 대표를 내정했다.



신설법인이 기존 사업부문이 맡던 서비스를 운영 대행하는 형태로 영업양수도한다. 이는 사업부문의 자산과 인력, 계약 등 조직 전체 영업활동을 신설법인에 포괄 양도하는 방식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공시 내용에 따르면, 거래 종결일은 오는 12월 1일이며 양도가액은 70억원이다.


이에 대해 회사 관계자는 “서비스 경쟁력 강화 및 신속하고 독자적인 의사결정 구조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정신아 대표는 지난 3월 주주총회 이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기업이 성장하려면 사람과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다음은 현재 카카오 안에서 구조적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판단했다"며 “서비스가 잘 성장할 수 있는 독립 경영 구조와 자율적 실험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 가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업계에선 지난해부터 추진된 군살빼기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영업양수도가 통상 비핵심 사업 정리나 현금 확보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이 필요할 경우 사용되는 전략이란 점에서다.


카카오는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한 인공지능(AI)·카카오톡 관련 사업부를 제외한 비핵심 사업을 정리하고 있다. 다음의 경우, 서비스 운영 비용은 크지만 검색 점유율은 3% 안팎으로 밀려나면서 매출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웹로그 분석 사이트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이날 기준 다음의 검색 시장 점유율은 3.05%로 2022년 5월(5.96%)보다 3%가량 감소했다. 이 기간 다음 매출이 포함된 '포털비즈' 매출 추이는 2022년 4240억원에서 2023년 3440억원, 2024년 3320억원으로 3년새 21.7% 줄었다. 올 1분기 매출은 740억원으로 전년 대비 12%가량 감소했다.


일각에서 지속 제기되는 지분 매각설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경영 통제를 통한 독자적 성장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보이나 장기 가능성은 없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신설법인이 카카오의 100% 자회사임을 고려하면, 법적으로는 독립되지만 모회사인 카카오의 소유권과 의사결정권은 실질적으로 유지되는 구조다. 매각을 추진하기 위해선 지분을 줄여야 하는데, 가치평가와 실사, 계약 구조 설계 등 단계별 준비가 필요해 즉시 매각 가능성은 줄어들게 된다. 다음의 자체 경쟁력 강화 추이를 지켜본 후, 상황에 따라 매각을 추진할 수도 있단 게 업계 중론이다.


실제 최초로 분사 가능성을 밝혔던 지난 3월 임직원 대상 타운홀 미팅 자리에서 '분사 이후 지분 매각도 감안하고 있다'는 언급이 나온 것으로 전해진다. 카카오가 그동안 VX·엔터프라이즈 등 수익성이 낮은 사업에 대한 지분 매각을 추진했거나, 이를 시도했던 사례가 적잖다는 점도 장기 매각설에 힘이 실리는 이유 중 하나다.


업계 한 관계자는 “100% 자회사의 경우 하나의 법인 단위로 돼 있어 사업 평가 및 계약 체결 등이 쉽고, 모회사가 자회사 지분을 외부에 넘기기만 하면 돼 매각 구조가 단순하다"며 “실제 매각 여부는 신설법인의 향후 서비스 혁신 방향성과 시장 점유율 회복 등 성과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태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