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원화 환율 1360원대로 급락…한은, 다음주 기준금리 내릴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24 16:34


발언하는 이창용 총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다음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트럼프발(發) 관세전쟁 여파로 경기둔화 흐름이 가시화하는 상황 속에서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원화 강세)한 만큼 이달 한은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힘이 실리는 상황이다.




금통위는 오는 29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75%에서 인하할지 동결할지 결정한다.


금통위는 2월 당시 금리를 3.0%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했지만 직전 회의인 4월엔 금리를 동결했다. 민간소비나 건설투자 등 내수가 부진한 데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으로 수출 전망마저 어두워지자 금리 인하를 통한 부양 필요성이 제기됐었다. 그럼에도 한은이 지난달 금리를 동결한 배경엔 1500원에 근접한 원/달러 환율, 가계부채·부동산 불안 등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후 1분기 한국 경제가 실제로 0.2% 뒷걸음친 것으로 확인됐고, 국내외 기관들도 줄줄이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1% 이하로 낮췄다. 이에 한은은 기존 성장률 눈높이(1.5%)를 큰 폭으로 하향 조정하고 동시에 경기 부양 차원에서 기준금리도 내릴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세를 보이는 것도 금리 인하 가능성에 힘을 실어준다. 실제 원/달러 환율은 24일 새벽 달러당 1366.50원으로 이번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전날 주간 거래(9시~15시 30분) 종가 1375.60원과 비교하면 9.10원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중순 이후 최저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드라이브로 달러화가 약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연합(EU)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50% 관세, 해외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스마트폰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이 여파로 '블룸버그 달러 현물 지수'는 2023년 이후 16개월래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다.


전문가들도 한은이 이달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강민주 ING 수석 이코노미스트 등은 23일 보고서를 내고 “한은이 경기부양을 위해 정책금리를 25bp(1bp=0.01%포인트) 낮출 것으로 예상한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과 글로벌 무역 긴장 일부 완화로 지표가 일부 개선될 가능성이 있지만 높은 불확실성과 큰 진전이 없는 무역협상으로 개선폭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400원선 밑에서 거래되고 인플레이션 또한 2% 수준에 고착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글로벌 투자은행 소시에테 제네랄도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0.8%로 제시하면서 한은이 이달 금리를 25bp 인하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말엔 금리가 2.0%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