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스스로 질병·신약 찾아내는 한국형 챗GPT 만든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24 13:07

삼성서울병원·네이버·히츠와 협업…2030년까지 개발
바이오·의료 특화 AI 추론 모델…“세계최고 수준 목표”

카이스트

▲카이스트(KAIST) 연구팀과 삼성서울병원, 네이버클라우드, 히츠 관계자들이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사업' 킥오프 행사에서 단체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카이스트

카이스트(KAIST)가 논리적 사고와 추론을 통해 스스로 질병을 판단하고 신약까지 발굴하는 바이오·의료 특화 인공지능(AI)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24일 KAIST에 따르면 디지털바이오헬스AI연구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사업(AI 스타펠로우십)'에 선정돼 이달부터 오는 2030년 12월까지 총 115억원을 투입해 질병을 스스로 추론하고 판단하며 신약을 발굴하는 AI 기술과 플랫폼을 본격 개발한다.


이 과제는 바이오·의료분야에 초점을 맞춰 전문 지식체계를 활용하고 이를 자동으로 확장할 수 있는 '추론형 AI 에이전트'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AIST 김재철AI대학원의 예종철 교수가 책임연구자를 맡으며 KAIST의 최윤재, 이기민, 안성수, 박찬영 교수 등 신진연구자와 주재걸, 김우연 교수 등 중견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세부적으로 △다양한 의료 지식체계를 통합해 진단 및 치료의 정밀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고성능 추론 모델 구축 △기호 기반 추론과 신경망 모델을 효율적으로 결합한 융합형 추론 플랫폼 개발 △'셀 온톨로지' 기반의 신약 개발 및 바이오마커 발굴 AI 기술 확보 등을 주요 목표로 한다.




또한 삼성서울병원, 네이버클라우드, 인공지능 신약개발 기업 히츠 등과 협력을 통해 △의료 지식체계를 활용한 임상 진단 AI △신약개발을 위한 AI 기반 분자 타겟 탐색 △지식 확장이 가능한 AI 추론 플랫폼의 상용화까지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학계에 따르면 오픈AI의 대화형 AI '챗GPT'는 사람처럼 대화하며 텍스트, 이미지 등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주는 생성형 AI로서 AI 대중화의 계기를 마련했지만, 어디까지나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분석모델로서 논리적 사고나 추론을 통해 해결책을 찾는 등 인간처럼 스스로 사고하는 인공지능이라 보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오픈AI는 지난해 논리적 사고 과정을 거치는 새로운 추론형 AI 모델 '오픈AI o1'을 출시하고 지속적으로 추론형 AI 모델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나아가 오픈AI는 지속적인 지시 없이도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며 자율적으로 작동하는 '에이전트형 AI'도 개발하는 등 인간 지능에 가까운 범용인공지능(AGI)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카이스트 연구진 역시 바이오·의료 분야에 특화된 '추론형 AI 에이전트'를 개발함으로써 질병을 스스로 추론하고 판단하며 능동적으로 신약까지 발굴해 내는 인간 지능 수준의 AI 플랫폼을 만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카이스트 연구진은 KAIST 내 다양한 연구실은 물론 외부 기업, 병원 등과 협업해 AI 추론의 이론적 기초부터 실용화까지 아우르는 전 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다는 방침이다.


KAIST 디지털바이오헬스AI연구센터장 예종철 교수는 “AI 추론 모델 개발 경쟁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올해부터 7년간 진행될 이번 과제 종료 이후에는 참여 신진연구자들이 연구성과 면에서 세계 1위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