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2일 오전 제주시 동문로터리 유세에서 배우 박혁권 씨의 손을 들어 올리고 있다. 연합뉴스
6.3 조기 대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유명 연예인·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주요 후보들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나서 관심을 끌고 있다. 일부는 후보와 직접 유세를 하거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활발한 선거 운동에 나서는 이들도 있다. 선거 막판 부동층 잡기에 얼마나 도움이 될 지 주목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탤런트, 배우, 가수, 영화감독 등 대중문화예술인들이 가장 적극적이고 조직적이며 세가 크다. 이들은 지난달 1차로 123인이 모여 지지 선언을 한데 이어 이달에는 무려 3만7171명이 지지 성명을 냈다.
먼저 배우 권해효, 김의성, 이기영, 가수 이은미, 신대철, 영화감독 이창동 등 123명의 문화예술인들이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이들은 “우리는 이재명을 '대통령이라는 도구'로 쓰고자 한다"며 지지 선언문을 발표했다.
또 총 3만7171명의 기초·전통·생활예술계 인사들이 지난 23일 이 후보를 돕겠다고 나섰다. 이들을 대표해서 나선 9명의 인사들은 김덕수(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전통음악), 김승국(전통문화콘텐츠연구원 원장), 최승연(뮤지컬평론가), 최여정(문화평론가), 이수아(서울심포니오케스트라 수석 바이올리니스트), 타루(가수), 요셉 권(한국-베트남 유스콰이어 지휘자), 이의주(SMI엔터테인먼트 소속 오페라 연출가), 이관훈(배우) 등이었다. 이들 중 이관훈 배우의 경우 707특임부대 출신으로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뛰어가 후배 군인들을 말리고 진정시키는 장면이 화제가 됐다. 이를 인연으로 지난 10일 이 후보의 후보 등록 서류 제출에 동행하기도 했다.
이들 뿐만 아니라 일부 셀럽들은 이 후보의 당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뛰고 있기도 하다. 배우 이기영은 24일 MBC라디오에서 공개 찬조연설을 했다. 배우 박혁권도 지난 22일 제주 유세 현장에 이 후보와 동행하기도 했다. 박혁권은 당시 2022년 대선에서도 이 후보를 지지해서 일거리가 떨어졌다면서도 “밥줄 끊겨도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겠다"며 강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 배우 이원종도 이 후보를 경기도 지사 시절부터 공개적으로 후원해 온 것으로 유명하다.
영화감독, 배우, 음악가 등 16인이 릴레이 형식의 지지 영상을 찍기도 했다. 영화감독 방은진, 배우 이원종·권해효·이기영·장동직·나재웅, 모델 이채은, 만화가 원수연, 해금연주가 강은일, 미술사가 유홍준, 작곡가 윤일상, 소설가 방현석, 소프라노 임세경, 무용가 이경진, 연극배우 김효진 등이 총 동원됐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9일 서울역 광장 유세에서 가수 김흥국 씨와 함께 손을 들어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지지하는 연예인들은 상대적으로 세가 적고 조직적인 성명서 발표 보다는 개인적인 지지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가수 김흥국, 개그맨 이혁재, 배우 최준용, 노현희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지난 13일 국민의힘 당사를 찾아 기자회견을 열고 김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이날 가수 김흥국은 “더 많은 우파 연예인이 나와서 꼭 승리할 수 있도록 정말 목숨을 다할 각오로 오늘 지지하러 왔다"며 “김문수 대통령 되는 일에 몸과 마음을 바치겠다"고 지지 의사를 밝혔다.
개그맨 이혁재도 “김 후보의 삶을 보며 자각했다"며 “개인적 친분은 없지만 정치인도 우리나라에서 이렇게 존경받을 만한 분이 있구나 하는 깨달음으로 직접 도움을 드리고자 왔다"고 목소리를 냈다.
가수 JK김동욱도 김 후보를 공개 지지하고 있다. 그는 SNS에 순대국 사진올리면서 “이번 대통령은 아무리 봐도 '김문순대'"라고 표현했다. 다른 게시물에서는 김 후보의 여론조사 지지율 1위를 기대하는 듯 “다들 드라마 환장하지 않냐"며 “역전 드라마 짜릿하겠는데"라고 했다.
◇연예계의 정치 참여, 사회적 인식 변화 반영
연예인들의 정치 참여 움직임은 사회적 인식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거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으로 인해 연예인들의 정치 참여는 제한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분위기가 변화하고 있는 추세다. 이는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민주주의가 성숙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변화라는 해석이다.
다만, 연예인들의 정치 참여가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보다 신중하고 책임 있는 자세가 요구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화예술인은 대중과의 접점이 많고 이미지로 평가받는 직군이이서, 그들이 특정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힐 경우 팬층과 대중의 반응은 엇갈릴 수밖에 없다.
문화예술계의 정치 참여는 이제 더 이상 '금기'가 아니다. 특히 2025년 대선은 문화예술계가 자신의 목소리를 공개적으로 내는 전환점이 되고 있다. 이번 대선을 통해 문화예술인의 정치 참여가 본격화되고 있고, 표현의 자유와 공적 영향력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