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학회 설문 문신자 55% ‘제거 희망’
비전문가 제거 위험…레이저시술 일반적
최근 ‘루비피코 레이저’ 가장 많이 사용돼

▲문신을 지우는 데 시용되는 레이저 시술의 일종. 사진=임이석테마피부과
요즘 인체 여기저기에 문신(타투·tattoo)을 새긴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요즘처럼 기온이 올라 옷차림이 짧아지는 여름철이면 타투 노출 모습이 더욱 눈에 띈다.
문신은 피부 깊은 진피층에 잉크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새겨진다. 한 번 새기면 평생 지워지지 않는다. 우발적인 이유로 문신을 하는 경우 나중에 후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대한피부과학회 조사에 따르면, 문신자의 55.2%가 이후에 문신 제거를 원하며, 이 가운데 38.2%는 '취직·결혼 등 사회적 제약' 때문에, 32.5%는 '타인의 불편한 시선'으로 문신을 지우고 싶다고 밝혔다.
의료적 경로를 통하지 않는 문신 시술이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문신을 지우는 데 이른바 '야매(비합적 또는 비전문 방식)'를 동원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전문의들은 강조한다.
임이석 테마피부과 임이석 원장은 “문신 제거 과정에서는 피부 손상이 최소화할 수 있는 정교한 의료기술이 필수이며, 보통 한 번의 시술로 끝나는 것이 아닌 반복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레이저 기술을 이용한 문신 제거 효과와 안전성이 상당히 높아졌다고 임 원장을 전했다. 문신의 부위·넓이·깊이·종류 등 다양한 점을 고려해 적절한 파장의 레이저를 선택하는 것이 노하우라는 설명이었다.
문신을 지우기로 결정했다면 피부과를 방문해 문신 크기와 피부 상태, 색상 등에 맞는 가장 적합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 제거하는 데 큰 비용과 시간 투자가 수반되므로 무분별하거나 충동적인 시술은 삼가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문신 제거 시 피코레이저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이 가운데 루비피코 레이저는 세 가지 파장을 이용해 잉크 색소를 강하게 분해해 자연스레 배출되도록 도와준다. 검정색은 1064나노미터(㎚, 10억분의 1m) 파장, 붉은색·노란색은 532㎚의 파장, 녹색과 파란색은 670㎚의 파장을 사용할 수 있다.
문신을 할 때는 감염 위험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일반 시술업소의 오염된 기구의 사용이나 불결한 위생 상태로 유발될 수 있는 △간염(특히 C형간염) △에이즈 감염 △알레르기 반응 △켈로이드 형성 △흉터 △시술부위 색소이상 등 여러 부작용 가능성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