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보다 DSR이 무섭다”...가계대출 5조↑, 은행 앱 ‘오픈런’ 난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27 16:29

5대은행 가계대출 26일까지 4.6조 증가
전월 증가폭 초과…신용대출도 더 빠르게 늘어

DSR 강화 전 막차 수요, 앱 대출 오픈런
기준금리 인하도 변수 “모니터링 강화”

가계대출

▲DSR 규제 강화를 앞두고 가계대출이 막힐 것을 우려한 수요가 몰리고 있다.

오는 7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실행을 앞두고 가계대출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5월이 채 끝나기도 전,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폭은 이미 전월 한 달 치를 넘어 5조원 가까이 늘었다.




은행 앱에서는 '오픈런' 현상도 계속되고 있다. 대출 규제 강화 전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몰리며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모습이다.


27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 26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47조7033억원으로, 전월 대비 4조6185억원 증가했다. 전월 한 달간 증가폭(4조5337억원)을 넘어선 수치다. 이달 초 긴 연휴로 은행 영업일이 많지 않았지만 가계대출은 더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593조243억원으로, 한 달 새 3조5943억원 늘었다. 전월 증가폭(3조7495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신용대출 잔액은 103조4799억원으로, 9868억원 늘었다. 전월의 증가폭(8868억원)을 이미 추월했다.


DSR 규제 강화를 앞두고 가계대출이 막힐 것을 우려한 수요가 몰리고 있다. 오는 7월 1일부터 3단계 스트레스 DSR이 실행되면 수도권에 적용되는 가계대출에 스트레스 금리 1.5%가 적용돼 대출 한도가 줄어든다.




비대면 대출을 신청하기 위한 은행 앱의 오픈런도 지속되고 있다. 국민은행의 경우 이달 앱을 이용한 주택담보대출 신청이 늘어나자 지난 14일께부터 하루 접수 건수를 150건으로 제한했다. 이후 조금씩 신청 가능 건수를 늘리고 있지만, 여전히 접수 시작 후 1시간 이내로 마감되고 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상황도 비슷하다.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 가계대출 규제 강화에 하루 신청 가능 주택담보대출(아파트담보대출) 건수에 제한을 두고 속도 조절을 하며 신청을 받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오전 6시, 케이뱅크는 오전 9시부터 신청을 받는데 1분 만에 신청이 마감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월말을 앞둔 만큼 대출 수요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주식시장 공모주 청약도 남아 있어 신용대출 수요도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링크솔루션은 27~28일, GC지놈은 29~30일 일반 투자자 청약을 진행한다.


은행권은 아직 가계대출 증가세가 통제 가능한 수준에 있다고 보고 있다. 가계대출 증가 분에 디딤돌, 버팀목 대출 등 정책 대출 비중이 큰 데다 하루 단위로 관리를 하고 있어 연초 설정한 성장 목표 내에서 관리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7월 DSR 강화 후 대출 성장이 진정세에 접어들지는 미지수다. 이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은 데다 하반기에도 1~2차례 추가 인하 전망이 나오고 있어, 대출 금리가 크게 떨어지면 가계대출 수요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3단계 스트레스 DSR 실행으로 가산되는 금리보다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떨어지는 금리 폭이 더 클 경우 대출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며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시장 상황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