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지역인재육성지원 사업 선정…30억7500만원 투입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6.30 15:12


부산시

▲부산시청 청사. 제공=부산시

부산=에너지경제신문 조탁만 기자 부산시가 교육부의 '지역인재육성지원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며, 지역 기반의 미래 기술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내게 됐다.




이번 사업은 부산형 라이즈(RISE) 계획과 연계해 고등학교부터 대학 입학 전후까지 이어지는 전주기 교육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시는 부산시교육청, 부산라이즈혁신원, 그리고 부산대, 경성대, 동의대, 신라대 등 4개 지역 대학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모에 참여했고, 산업 전략 분야로는 자동차·선박·항공 등 이른바 미래모빌리티 산업을 선택했다.



해당 분야는 부산시가 향후 도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집중 육성 중인 핵심 산업군으로, 정주형 인재 양성 체계와 산업 수요 간의 정합성을 고려한 전략적 선택으로 풀이된다.


올해부터 2029년까지 총 30억7500만 원의 국비와 시비가 투입되는 이 사업은, 고등학생이 지역 대학과 연계해 심화 교육을 받는 기회를 제공하고, 대학 입학 전 예비교육을 통해 학업 적응력과 진로 확신을 높이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교육을 통해 단순 진학률 제고를 넘어, 교육의 결과가 곧 지역 정착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목표로 삼는다.




기존의 교육지원사업이 각 단계별 분절된 형태였다면, 이번 사업은 지역 거버넌스와 대학·산업체가 긴밀히 연결된 하나의 생태계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이 과정에 참여하는 고교생은 대학의 교수진은 물론 산업현장의 전문가와도 실질적인 연계를 갖게 되어, 진로와 직업에 대한 인식 변화까지 기대되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선정은 지역 주도의 교육체계를 구체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청년이 떠나는 도시가 아닌, 머무르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데 한 걸음 더 다가섰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번 공모를 시작으로 미래항만, 바이오헬스, 디지털콘텐츠 등 여타 전략 산업으로의 단계적 확장도 검토하고 있다.


지역의 산업경쟁력을 키우는 데 있어 핵심은 사람이며, 그 사람을 길러내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교육이라는 점에서, 이번 부산시의 구상은 단순한 공모사업 선정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부산형 인재 순환 모델이 실효성을 입증할 경우, 향후 전국 지자체로의 확산도 기대된다.



조탁만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