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인터넷은행 심사 개시…다음주 비공개 PT
소소뱅크 재도전 ‘눈길’…“소상공인이 중심돼야”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왼쪽)과 서대엽 소소뱅크 설립준비위원회 부회장.
정부의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심사를 앞두고 소상공인 전문은행 출범 여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굵직한 금융사들을 주주로 확보한 '한국소호뱅크'의 인가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는 가운데, 소상공인들이 직접 주요 주주로 참여한 '소소뱅크'의 약진에도 이목이 쏠린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르면 다음 주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심사를 위한 1차 비공개 프리젠테이션이 진행될 전망이다. 당초 제4인터넷은행 예비심사 절차가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설립 자체가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으나, 드디어 예비인가를 위한 심사 절차에 돌입한 것이다.
앞서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에는 소소뱅크를 비롯해 한국소호은행과 포도뱅크, AMZ뱅크 등 총 4개 컨소시엄이 지난 3월 금융위원회에 신청서를 냈다. 새 정부 출범 초기만 해도 제4인터넷은행 설립이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으나, 금융당국의 수장 교체 및 배드뱅크 설립에 따라 후순위로 밀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초 예비인가 결과도 6월 말에는 발표될 것으로 점쳐졌으나, 일정이 뒤로 밀리면서 다음 주 심사를 위한 1차 비공개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게된 것으로 전해졌다.
예비심사를 신청한 4곳 중 소소뱅크와 한국소호은행은 소상공인을 타깃으로 내걸고 있다. 그밖에 포도뱅크는 재외국민, AMZ는 농업인과 MZ세대가 주 타깃이다.
금융권에서는 한국소호은행의 인가 가능성을 높게 점치는 분위기다.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에는 한국신용데이터(KCD)를 비롯해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등 굵직한 금융사들이 대거 포함됐다.
다만 새 정부가 소상공인 정책에 공을 들이고 있는 만큼 소상공인들이 직접 주주로 참여한 소소뱅크가 약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새 정부가 소상공인 친화 정책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소소뱅크 쪽에 더 힘을 실어주지 않을까 싶다"며 “일단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소소뱅크와 한국소호은행 모두 '소상공인 특화은행'을 핵심 가치로 내걸고 있지만, 전국 소상공인을 대표하는 법정경제단체인 소공연이 힘을 싣는 곳은 소소뱅크다. 소공연은 소액주주연합 형태로 소소뱅크 컨소시엄에 참여했다.
소소뱅크설립준비위원회에 따르면 소소뱅크가 소상공인 및 소기업으로부터 확보한 출자의향서 총액은 3월 기준 2500억원을 넘어섰다. 앞서 소소뱅크는 지난 2019년 제3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최종심사에서 자본금 부족을 이유로 토스뱅크에 밀려 고배를 마신 바 있다. '절치부심'한 소소뱅크는 이번 예비인가를 위해 자본금 확충에 공을 들인 것으로 전해진다.
송치영 소공연 회장은 “소상공인들이 역대급 위기에 고통받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시중은행은 올해 1분기 순이익이 전년동기대비 30.3% 증가했고, 같은 기간 특수은행의 순이익은 39.7% 증가했다"며 “이자 장사만 나서는 왜곡된 금융시스템도 소상공인 위기에 분명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대엽 소소뱅크 설립준비위원회 부회장도 “제4인뱅이 추진되고 있는 것은 금융에서 소외된 소상공인에 특화된 전문은행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소공연이 제4인뱅의 운영전반에 대하여 중심적 역할을 담당해야 애초 제4인뱅 설립 취지가 달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