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턴컨설팅 “석화산업 공멸 막으려면 선제적 구조조정 나서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02 17:30

김지훈 대표파트너, 국회미래산업포럼서 산업재편 필요성 강조
시기 놓치면 전방산업·민간 실물경제에도 악영향 미칠 가능성
“다운 스트림 경쟁력·크래커 원가 확보 동시에 따라야” 지적도
산업부 “업스트림 설비 감축, 고부가·친환경 전환 등 동시추진”

2일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 재편'을 주제로 열린 제1회 국회 미래 산업 포럼에서 김지훈 보스턴 컨설팅 그룹 대표 파트너가 발언하는 모습.

▲2일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 재편'을 주제로 열린 제1회 국회 미래 산업 포럼에서 김지훈 보스턴 컨설팅 그룹 대표 파트너가 발언하는 모습. 사진=박규빈 기자

“지금 우리 석유화학(석화) 산업은 '공멸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단순 버티기가 아니라 선제적이고 과감한 구조조정만이 산업을 살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1회 국회미래산업포럼의 주제발표자 김지훈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대표파트너는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 재편' 당위성을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파트너는 “중국발 물량 공세와 중동의 대규모 투자, 그리고 탄소중립 시대의 도래로 기존의 버티기 전략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석화산업이 높은 수출 의존도, 범용제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그리고 낮아진 가동률로 구조적 위기에 빠졌다"며 “이제는 경쟁력 없는 설비를 과감히 감축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산업을 재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우리 정부도 규제 완화와 금융 지원 등 적극적 뒷받침에 나설 것을 강하게 주문했다.




김 대표파트너는 “특히 공정거래법 등 규제의 장벽을 낮추고, 사업 재편에 따른 세제·금융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석유화학업계와 연구기관 전문가들도 “석화업계 시설 통폐합을 통해 생산설비를 감축하는 양적 구조조정으로 수익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업계와 연구기관에 따르면, 석유화학산업은 글로벌 트렌드의 변화로 동북아시아 내 에틸렌과 범용 폴리머 공급 급증으로 2022년 이후 다운 턴(하향) 국면에 접어들었다.


중국과 한국 정유사들이 과거 3년 간 국내 석화업계 생산량의 200% 수준인 2500만톤을 증설하면서 동북아 지역 평균 가동률은 15% 이상 하락했다. 공급과잉 상태가 회복되지 않으면 사업 전반의 흑자전환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중국 정부는 경쟁력이 부족한 설비 증설을 제한하지만 이로 인한 감소세는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당국의 이 같은 기조 아래 현지에 신설되는 주요 크래커는 국내 대비 원가 경쟁력이 우수할 것으로 보인다. 주변국의 대규모 에틸렌 설비 늘리기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일본 석화업계는 오는 2026~2028년 중 240만톤 규모의 감산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일본 내 생산량의 36% 수준이다.


석화업계의 대응이 일정시점을 넘어가면 전방산업과 민간 실물경제까지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때문에 국내 석유화학 산업계의 연착륙을 위해선 다운 스트림 경쟁력과 크래커 원가 확보가 따라줘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포럼에 정부측 패널로 참석한 산업통상자원부도 국내 석화 업황이 전례 없는 위기에 봉착했음을 인정했다. 따라서, 시장에선 나프타 크래킹 센터(NCC, Naphtha Cracking Center) 설비 합리화를 촉구하는 한편, 합작법인을 만드는 등 사업 매각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2일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 재편'을 주제로 열린 제1회 국회 미래 산업 포럼에서 권남훈 산업연구원장(오른쪽에서 네 번째)이 발언하는 모

▲2일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 재편'을 주제로 열린 제1회 국회 미래 산업 포럼에서 권남훈 산업연구원장(오른쪽에서 네 번째)이 발언하는 모습. 사진=박규빈 기자

이후 진행된 패널 토론회에서는 정부·국회·업계 관계자·전문가가 다양한 입장을 내놓았다.


나성화 산업부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이번 위기는 경기적 불황이 아니라 구조적 불황"이라며 “업계 자율적 구조조정에 정부가 제도적·재정적으로 뒷받침 할 것이고, 업스트림(기초 유분) 설비 감축과 고부가·친환경 전환을 동시에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용우 S&P글로벌 상무는 “중국의 과잉 공급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며, 일본·유럽 등도 대규모 감산에 나서고 있다. 한국도 구조조정에 참여하지 않으면 글로벌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상민 LG화학 석유화학본부장은 “단순 수평적 통합보다는 정유사와의 수직적 통합을 통한 원재료 경쟁력 확보가 더 효과적"이라며 “공정거래법 등 관련 규제의 유연한 적용과 정부의 연구·개발(R&D)·세제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김민우 롯데케미칼 전략기획본부장은 “지금은 구조적 위기임을 인정하지만, 단기적으로는 단지별 협업과 가동률 조정 등 자산 가치 보호도 중요하다"며 “정부가 독과점 기준 등 규제 완화와 재무적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전했다.


엄찬왕 한국화학산업협회 부회장은 “사업 재편에는 최소 2~3년이 소요된다"며 “공정거래법의 불확실성 해소·세제 지원·대기업 대상 자금 지원 확대가 시급하다"고 설파했다.


좌장인 권남훈 산업연구원장은 “오늘 논의가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를 단순히 '기업의 흥망' 차원이 아니라, 국가 경제와 지역 경제 전체의 시스템 위기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며 “개별 기업의 자율적 결정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와 국회, 업계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제언했다.



박규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