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0일 ‘2025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 첫 참여
박람회 내 120평 규모 가장 큰 독립 부스 설치
2020년 론칭 볼디스트, 5년간 성장 결과 집대성
국내 넘어 글로벌 기업과 협업 등 B2B 사업 확장

▲경기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에 참여한 볼디스트의 부스.사진=백솔미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이하 코오롱FnC)의 워크웨어 브랜드 볼디스트(BOLDEST)가 산업 의류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 속도를 높인다.
볼디스트는 7일부터 10일까지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안전보건박람회'(국제안전보건전시회·KISS)에 처음 참가해 그동안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 웨크웨어 시장을 선도할 경쟁력을 공개한다.
볼디스트의 강력한 의지는 이번 박람회에 참여한 브랜드 가운데 가장 큰 397㎡(약 120평) 규모의 독립 부스 확보, 공간을 모두 채울 정도의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통해 드러냈다.
2020년 론칭한 볼디스트는 고기능성 소재와 차별화된 프리미엄 디자인으로 기존의 작업복에서 벗어난 워크웨어를 지향한다. 건설 공사, 정비 기계, 페인터, 전기공 등 신체 안전을 요하는 모든 직군에서 착용 가능하다.
무엇보다 '리얼 워커와 함께 하는 리얼 워크웨어'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200여 명의 워커들과 실제 산업 현장의 작업 특성과 직군별 요구 사항을 반영한 제품을 개발하며 브랜드 가치를 충실히 이행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베임 방지 기능의 볼디스트 의류 위에 셔츠를 입고 실험한 마네킹 모습.사진=백솔미 기자
박람회에 설치된 부스는 브랜드 존, 볼디스트 랩 존(R&D), B2B 파트너 존, 워크슈즈 존, 협업 존 등으로 구성돼 있다. 볼디스트 랩 존에는 방염, 베임방지, 고가시성, 내화학 등 주요 기능별 제품이 전시됐다.
7일 현장에서 만난 관람객들은 워크웨어가 일반 의류와 크게 다르지 않은 디자인이지만 신체의 안전을 지켜주는 기능성 부분에 호기심을 표하며 직접 소재를 만져보는 등 높은 관심을 표했다. 단체로 방문한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에서도 제품을 둘러봤다.
볼디스트가 워크웨어 시장 공략에 자신감을 갖는 배경에는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있다. 볼디스트는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자체 개발한 고강도 아라미드 섬유 '헤라크론'(HERACRON®)'과 베임 방지 및 냉감 기능성 소재 '포르페'(FORPE®)를 사용해 제품을 제작한다.
또 국내 굴지의 시험 연구기관과 함께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성을 수치화하는 등 신뢰성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다. 여기에 기능성 디자인까지 강화해 워크웨어의 기준을 한층 끌어올리는 결과를 내고 있다.

▲미감 요소를 더한 볼디스트 티셔츠.사진=백솔미 기자
코오롱FnC에 따르면 볼디스트 상품 재구매율은 지난해 기준 49%를 기록했으며, 매년 2배 가까운 매출 신장율을 달성했다.
이러한 성장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기 위해 볼디스트는 초창기 주력해온 B2C 사업에 지난해부터 B2B 사업을 추가했다. 최근에는 현대자동차와 하이테크센터 노동자를 위한 기능성 충격방지 모자인 '세이프티캡'(SAFETY CAP)을 공동 개발하기도 했다.
국내를 넘어 보아(BOA®), 고어텍스(GORE-TEX®), 씨에스트로(Cestro®) 등 글로벌 기업과도 손잡고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박성철 볼디스트 본부장은 “산업의 최우선 가치는 사람이고 그 중심에 노동자의 안전이 있다. 볼디스트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와 개발을 할 것"이라며 “산업 현장의 문제를 기술력으로 해결하는 '워크웨어 솔루션 플랫폼'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