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KB국민카드
원화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다수 출원
체크카드 시장 일부 대체
카드사 진출 위한 법제화 추진
스테이블코인 사업성 의문
낮은 수수료율 문제 등 영향

▲원화스테이블코인 도입이 추진 중인 가운데 카드사들이 시장·제도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카드사들이 내수 부진과 가맹수수료율 인하 등 비우호적인 환경 속에서 고전하는 가운데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편입을 주시하고 있다. 핀테크 기업들과 부딪히는 '전선'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다만 업계 전반은 아직 촌각을 다툴 사안은 아니라며, 관망세를 유지하는 분위기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핀테크 기업들은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앞두고 한발 앞서 움직이고 있다. 네이버페이는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와 손잡고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나서는 중으로, 박상진 대표가 최근 '선도적인 역할을 할 준비가 됐다'는 발언도 했다. 카카오페이와 비바리퍼블리카(토스)를 비롯한 곳들도 대거 상표권을 출원하고 있다.
반면 카드업권에서는 앞서 'SOLKRW'와 'KRWSH'를 비롯한 상표 9건을 등록한 신한카드와 최근 'KBCSTB'·'KBCKRW'·'STCKBC' 등 35건을 출원한 KB국민카드를 제외하면 뚜렷한 행보가 포착되지 않고 있다.
양사 모두 △사명·브랜드명 △스테이블코인 △원화 등을 활용해 '작명'을 했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은 아니라는 입장도 유사하다. 상표를 등록해놓아야 상품 출시를 비롯한 과정이 이뤄질 수 있는 만큼 사전작업을 진행하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다만 스테이블코인이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었고, 더불어민주당이 관련 법안도 발의하면서 금융권 전반에서 스테이블코인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향후에는 전략적 대응에 나설 수 있다는 방침이다. 카드사·전자지급결제대행사(PG) 등을 거치지 않는 까닭에 수수료를 비롯한 수익원이 축소될 수 있다는 이유다.
월마트와 아마존을 필두로 대규모 자본을 보유한 기업들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고려하는 가운데 미국 상원에서 '지니어스 액트'가 통과하면서 현지 카드사들의 주가가 하락했던 점도 언급된다. 이는 플랫폼 사업자를 비롯한 기업들의 결제 시장 진입을 허용하는 법안으로, 가상자산 친화적으로 불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환영 의사를 표하면서 입법을 앞두고 있다.
여신금융협회가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을 건의할 계획인 것도 '디딤돌'을 놓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카드사들도 스테이블코인 관련 업무를 겸영업이나 부수업으로 추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이 활성화 된다고 해도 신용카드를 위협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원화를 추종하는 특성상 효용성이 얼마나 되겠냐는 것이다. 원화와 같은 수준의 가치를 지닌 코인을 충전·결제해야 하고, 여신을 활용하는 신용카드와 같은 기능도 제공하기 어렵다는 논리다.
지난 5월 기준 국내 개인 체크카드 이용실적이 신용카드의 20% 수준일 뿐더라 그마저도 일부 대체에 그칠 것으로 보는 점도 업계를 혼란에 빠뜨리지 않는 요소다. 실제로 홍콩계 핀테크 기업 리닷페이가 국내에 발을 내딛었지만, 소비자에게 소정(약 1%)의 수수료를 전가하고 가맹점도 우대수수료율을 적용받지 못하는 탓에 저변 확장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평가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도 신용카드 중심의 국내 결제 인프라, 높은 신용카드 보급률, 낮은 가맹 수수료율 등을 고려하면 스테이블코인이 시스템 변화에 끼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제도권에 수용된 상황도 아닌 만큼 추후 결제수단 다양화가 이뤄질 수 있다는 측면을 두고 모니터링하는 단계"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