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김포산업지원센터 2.0 ‘시동’… 3년간 45억유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12 13:51

김포=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기업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과 동시에 김포산업지원센터를 출범시켰다. 지난 3년간 각종 공모를 통해 45억원을 유치했다. 김포시는 김포산업지원센터 2.0 도약과 김포산업계 지원 컨트롤 타워를 맡게 될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를 지난 1월 개관했다.




김포산업지원센터를 비롯해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산업지능화기술센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경기김포센터, 김포산업단지관리공단 등 유관기관이 함께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에 자리하면서 기업 지원에 대한 체계적 강화가 기대되고 있다.


실제로 김포시 행정-기획-공보통으로 관내 네트워크가 탄탄한 박정우 신임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장이 임명되면서,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는 관내 기업들과 긴밀한 소통을 빠르게 확산하면서 기업 육성 효과와 기업 투자유치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 에너지 효율시장 조성 4년 연속 선정

김포시 1월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개관식 개최

▲김포시 1월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개관식 개최. 제공=김포시

김포산업지원센터는 특히 에너지 관련 분야애서 전국 유일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산업통산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이 진행하는 '에너지 효율시장 조성' 공모사업에 2021년 최초 선정, 2022년, 2024년, 2025년 4회 연속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이는 전국 타 시-군 기관들과 경쟁을 통해 선정된 결과로 센터는 연속 4회 선정을 통해 국비 약 16억원을 확보해 기업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계 교체를 지원했다.




◆ 경기도 소공인 지원 공모 잇따라 선정

김병수 김포시장 1월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개관식 주재

▲김병수 김포시장 1월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개관식 주재. 제공=김포시

김포시는 경기도 내에서 2~3번째 규모를 가진 산업도시다. 그러나 이 중 50인 미만 중소기업이 99%를 차지해 중소기업 및 소공인 지원 시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중소기업 및 소공인을 위해 경기도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주관하는 소공인 집적지구 네트워크 활성화 공모사업에 2022년부터 선정되고, 2023년 소공인 집적지구 네트워크 활성화 사업 공동제품개발 공모사업에도 경기도 1위로 선정됐다.


해당 사업은 경기도 14개 시-군 집적지구 경쟁 사업으로 한 곳만을 선정해 국비 6000만원을 지원받아 소공인의 공동제품 개발을 지원하며 서류평가, 발표 평가 진행 후 당당히 김포시가 1위로 선정됐다.


◆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 우수사례 선정

김병수 김포시장 1월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개관식 주재

▲김병수 김포시장 1월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개관식 주재. 제공=김포시

김포산업지원센터는 경기도 주관 '2024 경기 살리기 통큰 세일' 공모사업에도 선정됐다. 이는 기업과 시민을 연결해 관내 우수 기업 제품을 홍보하고, 지역 상권을 강화하고자 구래동 문화의거리에서 진행됐다.


이 행사에는 60개 상권과 25개 소공인업체와 7개 중소기업이 참여해 관내 기업 제품 홍보와 지역 상권 강화 등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성공적인 행사로 성료됐다.


이 행사는 경기도 내 통큰 세일 우수사례로 선정되며 타 지자체 주목을 받았다. 김포산업지원센터 팀장은 올해 사업 진행 기관들을 대상으로 우수사례 발표해 김포시 위상을 타 시-군에 널리 알리기도 했다.


◆ 한국서부발전과 에너지 효율화 협약

김병수 김포시장 1월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개관식 주재

▲김병수 김포시장 1월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 개관식 주재. 제공=김포시

김포산업지원센터는 작년 12월 한국서부발전㈜과 김포시 산단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WP소셜리워드 사업 5200만원, 김포산업단지 에너지 효율화 인프라 구축 사업비 30억원을(BTO 환수 사업) 확보했고, 사업비는 관내 기업 에너지 효율 인프라 구축에 지원될 예정이다. 김포산업지원센터는 한국서부발전과 매년 사업 논의를 통해 추가로 사업을 유치한다는 방침이다.


박정우 김포제조융합혁신센터장은 12일 “앞으로 김포 기업 및 산업 분야의 선도적 싱크탱크 역할 수행하겠다"며 “센터 개편을 통하여 기업 컨설팅과 소공인 지원을 더욱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강근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