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미야 소헤이 참정당 대표(사진=로이터/연합)
지난 20일 치러진 일본 참의원(상원) 선거에서 집권 자민당이 과반 유지에 실패하는 등 참패한 가운데 극우 성향의 신생 '참정당(參政黨)'이 돌풍을 일으켰다. 미국과 일본을 휩쓸었던 극우 포퓰리즘 열풍이 일본에서도 거세게 불기 시작한 것이다.
21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번 참의원 선거에서 참정당은 14석을 얻어 총 15석을 확보한 정당으로 도약했다. 참정당은 참의원에서 단독으로 법안을 제출할 수 있는 기준(11석)도 넘기게 됐다. 로이터는 “참정당이 이번 선거에서 가장 크게 승리한 정당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참정당은 현 대표인 가미야 소헤이(47) 의원을 중심으로 2020년 4월 창당된 신생 정당이다.
가미야 의원은 간사이대 졸업 후 몇 년간 고교에서 세계사와 영어를 가르치다가 2007년 오사카부 스이타시 시의원에 당선되면서 정계에 발을 들여놨다. 그 뒤 2012년 자민당에 입당해 중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유튜브 등 인터넷 채널을 통해 음모론이나 보수 성향의 정보를 설파하다가 2020년 뜻을 함께하는 지인들과 시작한 게 지금의 참정당이다.
참정당은 이번 참의원 선거에서 '일본인 퍼스트'가 상징하듯 사회 문제의 원인을 외국인에 돌리는 듯한 정책을 대거 내세웠다. 이와 관련해 세부 공약으로는 외국인에 의한 부동산 매입 제한, 비숙련·단순 노동자 수용 규제, 외국인에 대한 생활보호 지원 중단, 영주권 취득 요건 강화 등을 내걸었다.
그는 선거전이 공식 개시된 지난 3일에도 “싼 노동력이라고 해서 외국인을 자꾸 끌어들이면 일본인 임금은 오르지 않는다"며 저소득 노동자층이 품어온 불만의 대상을 외국인에 돌렸다.
또 주권을 국민이 아닌 천황에게 돌리고(1조), 교육칙어를 교육하는(9조) 내용의 새 일본 헌법 초안을 내놓기도 했다.
로이터는 일본 경제와 엔화 가치가 약해진 상황 속에서 최근 수년간 관광객이 유입되면서 물가가 일본인들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치솟자 참정당이 이에 좌절한 유권자들을 사로잡았다고 분석했다.
가미야 대표는 이번 선거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담한 정치 스타일"에 영감을 받았다고 로이터에 말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선거에서 자민당은 39석, 연립 여당 공명당은 8석을 확보해 두 정당이 획득한 총 의석 수는 47석이다.
참의원 의원 수는 248명이며, 3년마다 임기 6년인 의원 절반을 뽑는다. 이시바 총리는 이번 선거에서 자민당과 공명당의 과반 의석수 유지를 목표로 제시했다.
125석 중 50석 이상을 확보해야 기존 의석(75석)을 합쳐 과반 의석을 유지할 수 있지만 이번 선거 결과 두 정당의 참의원 의석수는 총 122석(47석+75석)으로 과반인 125석에 못 미쳤다. 이에 따라 중의원·참의원에서 모두 여소야대 구도가 형성됐다.
자민당 총재인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연이은 선거 패배로 퇴진 압박에 직면할 것으로 보이지만 일단은 총리직을 유지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