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잘 날 없는 車보험…‘물폭탄’에 깊어지는 수익성 우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21 19:04

손보사 6곳 상반기 손해율 82.7%
전년비 3.0%p↑

닷새간 침수 피해 등 신고 3131대
손해액 300억원

파손된 차량

▲집중호우로 3000대가 넘는 차량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손해보험사들이 판매·운영하는 자동차보험 상품들이 갖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초 폭설과 그에 따른 '블랙아이스'로 지출되는 비용이 불어나고 보험료 인하·정비수가 인상이 겹친 탓이다. 하반기도 '물벼락'을 맞고 출발하게 됐다.




21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한화손해보험·메리츠화재의 올 1~6월 차보험 손해율은 82.7%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9%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화재와 현대해상이 83.3%로 가장 높았고, 한화손보(83.2%)·메리츠화재(82.5%)·KB손보(82.3%)·DB손보(81.7%) 순으로 나타났다.


이미 지난해 수준의 손해율을 기록했고, 상반기 보다 하반기 손해율이 커지는 경향으로 볼 때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적자가 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기나긴 적자를 끊고 흑자로 돌아선지 3~4년 만에 다시 부진의 늪으로 빠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손보사 1분기 실적에서 차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은 줄었다. 삼성화재(299억원)와 KB손보(37억원)의 차보험 손익은 70% 이상 줄었고, 현대해상(160억원)과 DB손보(460억원)도 각각 63%·51.4% 감소했다. 적자전환한 곳도 적지 않았다.


차보험은 통상 손해율이 80%대 초반을 손익분기점(BEP)으로 본다. 악재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3월을 제외하면 월별 손해율이 80%를 상회했던 것도 특징이다. 2분기 역시 80%대 손해율이 유지된 가운데 전국을 강타한 집중호우로 3000대 이상의 차량이 피해를 입으면서 3분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손해보험협회는 지난 16일부터 21일 오전 9시까지 침수 피해 등으로 접수된 차량이 3131대라고 밝혔다. 추정 손해액은 296억원 규모로, 피해 접수가 늘어나면 300억원도 넘어설 수 있다.


KB손보와 삼성화재가 각각 '비상대응 프로세스'·'침수예방 비상팀'을 가동하는 등 업계 전반적으로 고객 안전과 수익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닷새 만에 중소손보사가 한달 넘게 받는 수입보험료와 맞먹는 손실이 발생한 셈이다.


KB손보는 기상정보 수집·비상 지원 인프라 확보 후 긴급대피 알림을 보냈다. 보험개발원·손보협회·도로공사가 구축한 '긴급대피 알림' 시스템도 활용했다. 삼성화재도 긴급상황 발생시 고객 동의 하에 관공서와 공조, 침수 위험 차량을 안전지대로 옮기고 위험 지역 순찰 등을 수행했다. 메리츠화재도 '자동차 보상 재해재난 대응단계', 현대해상도 '자연재해 비상대책조직'을 운영했다.


업계는 기후변화를 비롯한 이유로 좁은 지역에 기습적으로 폭우가 쏟아지는 일이 벌어지면서 차량간 추돌사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토로하고 있다. 태양광발전을 포함한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산사태 가능성을 높였다는 주장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수도권·강원·영남을 망라한 지방자치단체들이 집중호우에 앞서 관련 시설이 위치한 곳을 점검하기도 했다.


하반기 손해율 상승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태풍도 한반도를 향해 오고 있다. 최근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형성된 97W 열대요란이 제7호 태풍 '프란시스코'로 발달하면 일본 오키나와, 중국 저장성 쪽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국내에도 호우주의보 등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뜻이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보험료가 소비자물가지수(CPI)에 포함된 터라 올리기 어렵다는 것은 알지만, 지출되는 비용을 줄이는 것 외에 손익 개선을 위한 솔루션이 없는 상황"이라며 “4년 연속 보험료를 내렸고, 고령운전자 확대를 비롯해 개별 기업·업권이 컨트롤할 수 없는 이슈도 있는 만큼 긍정적인 검토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