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유럽과 합의 가능성 50%…캐나다는 관세 지불할듯”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26 09:58
USA-TRUMP/BRITAIN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8월 1일 발효 예정인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교역국과의 무역협상 진행 상황에 대해 언급했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로 출발하기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유럽연합(EU)와 협상 타결 가능성에 대해 “50대 50의 확률, 어쩌면 그보다 낮을 수 있지만 EU와 50대 50의 확률로 타결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EU가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EU는 오는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미국과 관세협상 최종 담판을 짓는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했다면서 “일요일(27일)에 대서양 통상관계,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강력하게 유지할지 논의하기 위해 스코틀랜드에서 만나기로 했다"고 밝혔다.




협상 시한(8월 1일)이 임박한 가운데 전격적으로 성사된 이번 회동은 대서양 무역전쟁 전면전을 피하기 위한 사실상의 마지막 기회가 될 전망이다.


다만 블룸버그는 EU 외교관들이 무역협정이 임박한 것으로 보고 있음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언급은 무역협상 상황이 빠르게 반전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주말 원칙적 무역협정에 합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복수 EU 당국자와 외교관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EU 상품에 15%의 상호관세율 부과하고, EU산 철강·알루미늄 관세율을 50%로 정하는 합의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일본과 체결한 합의와 유사한 내용이다.


그러나 EU는 지난 9일 미국과 이른바 '원칙적 합의'를 수일 내 체결할 수 있다고 밝혔으나 12일 트럼프 대통령이 돌연 8월 1일부터 30%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서한을 보내면서 뒤통수를 맞았다.


이에 EU는 트럼프 대통령의 즉흥적이며 예측 불허 성격을 고려해 협상 불발에도 대비하고 있다. EU는 전날 미국산 항공기, 자동차, 버번위스키 등 총 930억 유로(약 150조원) 규모 상품을 겨냥한 보복관세안을 확정했다. 협상 불발 시 내달 7일부터 시행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오는 28~29일 예정된 미중 고위급 무역회담에 대해선 “거래의 골격은 갖췄다"고 평가했다.


영연방 국가인 캐나다와 호주에 대해선 상반된 입장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려은 캐나다와 관련해 “별로 운이 좋지 않다"며 “협상이라기보다는 그냥 관세만 지불하게 될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호주에 대해선 “훌륭했다. 그들언 전날 사상 처음으로 소고기 시장을 개방했다"며 “우리가 (시장 개방을) 요구했고 그들은 그렇게 하기로 약속했다. 그들은 무언가를 하려고 한다"고 했다.


또 주요 국가를 제외한 다른 나라들에게 200통의 서한을 보내겠다며 “서한이 나가면, 그게 바로 거래"라고 못 박았다.


아울러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부과한 품목별 관세에 대해 “한 나라에 해주면 모든 나라에 해줘야 한다"며 특정 국가에 대한 면제 가능성을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협상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금까지 관세 문제에서 합의한 교역 상대국은 영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일본 등 5개국이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