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엔화 환율 급등에 당국 또 구두개입…160엔 돌파할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04 18:28
FILE PHOTO: ANALYSIS-Japan widens FX watch to include risk of yen spike as U.S. recession fears mount

▲일본 엔화(사진=로이터/연합)

미국 달러화 대비 일본 엔화 환율이 상승세(엔화 약세)를 이어가자 금융 당국이 또 다시 구두개입에 나섰다. 미국과 일본의 통화정책이 엇갈리는 와중에 엔화 환율의 추가 상승 가능성마저 거론되자 당국은 물론 투자자들도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가타야마 사츠키 일본 재무상은 4일 기자회견에서 “환율 시장에서 편향적이고 급격한 움직임을 목격하고 있다"며 “상황을 긴박하게 평가한다는 우리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날 가타야마 재무상의 발언은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154.50엔까지 치솟은 뒤 나왔다. 이는 지난 2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가타야마 재무상은 지난달 31일 구두 개입에 나선 바 있다.


일본 엔화 환율은 지난달에만 4% 가량 급등해 주요 10개국(G10) 통화 중 최악의 흐름을 보였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가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한 데다 향후 금리인상에 대한 가이던스를 제공하지 않자 엔화 환율은 지난달 29~30일에만 달러당 3엔 가까이 치솟았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에서 향후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시장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여기에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는 이날 새로 출범한 '성장전략본부' 첫 회의에서 “세율을 인상하지 않고 세수를 늘리겠다"며 내년 여름에 성장 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본부는 '강한경제'와 '책임 있는 적극 재정'을 내건 다카이치 총리의 경제 정책 사령탑이다.


이와 함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2월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도 엔화 약세의 또다른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엔화 환율이 더 오를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야마다 슈스케는 전날 투자노트를 통해 올 연말 엔화 환율 전망치를 155엔으로 유지하면서도 “환율이 올 4분기 160엔까지 치솟을 리스크가 커졌다"고 진단했다.



노무라 인터내셔널의 사가 삼브라니 선임 외환 옵션 트레이더는 “헤지펀드들은 엔화 환율이 이달 157엔을 기록하고 연말엔 158~160엔까지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의 카렌 라이히갓 피시먼 전략가는 엔/달러 환율이 161~162엔 수준까지 치솟을 경우 당국이 직접 개입에 나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엔화가 특별히 약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환율 급등은 일본의 재정 리스크 프리미엄과 일본은행의 단기 금리 기대치 재조정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역시 환율에 변동성이 심하거나 투기적 포지셔닝이 구축되지 않는 한 엔화 환율이 달러당 155엔을 기록해도 시장 개입이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