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결제 진입으로 ‘실사용’ 폭 넓혀
젊은층 중심 애플페이 이용 확산 조짐
카드사, 수십만 애플 유저 페이 전환에 대비
빅테크는 오프라인·교통 결제 부문 참여 확대
디지털 결제 시장 지형도 재편 본격화될 듯

▲애플은 지난 22일 아이폰과 애플워치에 '애플페이 티머니'를 도입했다.
애플페이가 대중교통 결제 지원을 시작하면서 모바일·간편결제 시장의 변화를 촉진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을지 이목이 모인다. 가장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 결제와 연관된 시장의 변화가 예고되는 가운데 애플페이 고객 유입과 파급력에 따라 카드사와 핀테크사까지 변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젊은층 고객 유입 기대…카드사 '애플페이' 도입 나서나
29일 카드업계와 IT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 22일 아이폰과 애플워치에 '애플페이 티머니'를 도입했다.
기존 아이폰 사용자들은 실물 교통카드 없이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없었지만 이번 변화에 따라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를 교통카드 단말기에 접촉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티머니에 선불 충전한 뒤 애플지갑 애플리케이션(앱)에 티머니를 추가해 사용하는 방식이다. 티머니와 제휴를 맺은 상점에서 결제도 가능하다.
선불충전 방식으로 인해 후불 교통카드나 기후동행카드, K-패스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는 부분이 한계로 꼽히지만 애플 지갑에서 잔액이 일정액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충전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애플페이를 통한 대중교통 결제 시장이 열리면서 '모바일 디바이스 결제'와 연관된 시장부터 변화를 겪을 전망이다. 한국갤럽에 따르면 우리나라 아이폰 사용자는 전체 스마트폰 사용자 중 23%를 차지한다. 특히 20대의 64%가 아이폰을 사용 중으로, 여성 사용자층에서 높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삼성 갤럭시 다음으로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만큼 기존 아이폰 유저의 애플페이 사용이 급증하면 삼성페이의 지위을 흔들게 될 가능성이 높다.
애플페이 사용자가 늘어나면 그동안 애플페이 서비스 시행을 미뤄왔던 카드사들의 움직임부터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현재 애플 지갑에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애플페이를 지원하는 현대카드로만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기존에는 애플페이 서비스 지원에 대한 각종 수수료로 인해 타 카드사들이 도입을 검토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기존 아이폰 사용자들은 실물 교통카드 없이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없었지만 이번 변화에 따라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를 교통카드 단말기에 접촉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교통카드 이용 외에도 오프라인 결제처 확장이 예상되면서 카드사로선 수익성 확대의 기회가 될 수 있다. 애플페이가 교통카드 기능 도입 외 국내 서비스 범위를 점차 확장하고 있어서다. 현재는 애플페이 지원 점포가 주로 편의점과 대형 프랜차이즈 매장에 국한돼있지만 티머니와 제휴를 맺은 가맹점을 위주로 결제처가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도 티머니와 제휴된 편의점, 카페, 베이커리, 마트 등에서 티머니 결제가 가능하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그동안 가장 아쉬운 점으로 꼽혔던 부분이 해소되면서 수십만 애플 기기 유저가 애플페이 사용을 고려하게 될 것"이라며 “대중교통 결제로 사용처가 대폭 커지면 수수료 부담보다 기회 요인이 될 수 있고, 수익성을 떠나서도 젊은층 고객 확대를 염두에 두고 카드사의 애플페이 도입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핀테크, 온·오프라인 통합결제 등 시장 유연성에 주목
온라인 간편결제를 운영하는 주요 빅테크사들의 변화도 감지된다. 핀테크사들은 아이폰 이용자들의 애플페이 전환 후 나타날 파급 효과에 집중하고 있다. 당장 온라인 결제시장에 위협적이진 않지만 시장 변화를 살피면서 제휴와 서비스 강화에 움직임을 키워가겠다는 입장이다.
핀테크업계는 이동수단이나 교통, 온·오프라인 통합결제 등 시장 전반의 유연성에 주력하고 있다. 애플페이의 기능 확대로 모바일 결제 시장이 커지면 회사별로 차별화된 오프라인 혜택이나 교통비 연계 서비스가 등장할 전망이다. 현재도 카카오페이 등 핀테크사들이 K-패스카드와 연계해 모바일 발급을 지원하는 식으로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한 핀테크업계 관계자는 “젊은층과 수도권 아이폰 유저들의 애플페이 대전환이 나타나면 빅테크도 카드사와의 제휴 서비스를 강화하는 등 여러 대비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핀테크사들은 아이폰 이용자들의 애플페이 전환 후 나타날 파급 효과에 집중하고 있다.
오프라인과 교통 결제까지 아우르는 애플페이 기능에 따라 사용처가 대폭 늘어날 경우 그동안 삼성페이와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 사실상 경계가 나뉘어있던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핀테크사는 이전까지 온라인 결제시장 강자였지만, 오프라인과 교통 결제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여왔다. 그러나 앱 내 계좌나 카드 연동 등을 통한 '지갑 없는 결제'가 핀테크사의 주력사업이기 때문에 디지털 지갑 결제 등 혁신과 연계한 핀테크사 경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관계자는 “직접적인 간편결제시장 영향보다 오프라인 결제 시장 참여나 기술 경쟁 등에서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애플페이 이용자 유입이 예상보다 크지 않을 수 있어 이후 변화를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장은 교통카드의 후불결제 기능이 제한된데다 애플페이 지원 카드사가 국한돼있거나 호환 단말기 보유 가맹점이 많지 않다는 기존 한계점이 있어서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소비자 반응을 살펴본 결과 애플페이 사용을 두고 선불형 충전 아쉽다는 의견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