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인천·아시아나항공 화물 사업 통합 ‘에어제타’ 출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01 20:46

김관식 “글로벌 항공 물류 전문 플랫폼 도약 목표”
보잉기 11대·직원 포함 이관…통합사 작업 박차


1일 인천공항 화물기 주기장에서 첫 미주행 화물기편 출항을 기념하는 행사에 앞서 김관식 에어제타 대표이사가 기념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에어제타

▲1일 인천공항 화물기 주기장에서 첫 미주행 화물기편 출항을 기념하는 행사에 앞서 김관식 에어제타 대표이사가 기념사를 전하고 있다. 사진=에어제타 제공

에어인천과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가 통합해 새로운 법인 '에어제타(AIRZETA)'로 공식 출범했다. 이로써 국내 최대 항공화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글로벌 항공 물류 시장을 겨냥한 통합 항공 화물 전문 플랫폼이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1일 에어제타는 오전 인천공항 화물기 주기장에서 첫 미주행 화물기편 출항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당일 오후에는 서울 강서구 마곡동 사무실에서 국토교통부와 항공·물류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출범식을 열고 향후 비전과 전략을 공유했다.


김관식 에어제타 대표이사는 “에어인천과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가 오늘부터 하나의 팀으로 더 큰 도약과 혁신을 추진하게 됐다"며, 국내 최대 항공 물류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고객이 원하는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물류 플랫폼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에어제타 관계자들이 행사 현장에서 새 사명을 공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에어제타 제공

▲에어제타 관계자들이 행사 현장에서 새 사명을 공개하고 있는 모습. 사진=에어제타 제공

에어제타는 출범과 함께 '항공 물류의 새로운 미래, 비욘드 아시아 투 더 월드(Beyond Asia to the World)'라는 슬로건을 공개했다. 이번 에어제타 출범은 아시아나항공이 에어인천과 체결한 화물본부 매각 계약이 종결되며 현실화됐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날 화물 사업을 총 4700억원에 에어인천에 매각하고, 보유 중이던 보잉 747 화물기 10대와 767 화물기 1대, 관련 인력까지 전면 이관했다.


해당 매각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 결합에 대한 유럽연합(EU)과 일본 공정취인위원회의 승인 조건을 이행하기 위한 핵심 조치다. 앞서 2024년 2월 EU는 화물 사업 매각 등을 조건으로 양사 간 합병을 승인했고, 이어 같은 해 6월 에어인천이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 2025년 1월 16일 양사는 분할 합병 계약을 체결했고, 3월 국토부로부터 최종 인가를 받았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이번 거래 종결은 통합 항공사를 향한 핵심 과제를 마무리한 의미 있는 진전"이라며, “앞으로는 여객운송 사업에 집중하고 대한항공과의 통합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 본부는 1994년 서울–LA 노선 화물기 취항을 시작으로, 30년간 고부가가치 물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는 여객기 개조를 통해 백신과 의료물품 수송에 나서며 항공사 수익의 버팀목 역할을 했다.


2024년 화물본부의 매출은 전년 대비 약 7% 증가한 1조7195억원을 기록했으며, 연간 화물 수송 실적은 83만1278톤에 달했다. 주요 운송 품목은 스마트폰·반도체·외규장각 도서·남방큰돌고래 등 특수 화물이 포함됐다.


한편, AIRZETA는 앞으로도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글로벌 물류 기업들과의 전략적 협력을 확대해 △수출입 화물 수송 경쟁력 강화 △이커머스·특수 화물 시장 대응 △글로벌 허브로의 성장 기반 확보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에어제타 CI

▲에어제타 CI


박규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