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지난달 30일 구리 관세 포고문 서명…정제 구리 등은 제외
예상깬 구리 관세…구리값 20% 역대급 폭락
골드만, 지난달 29일 “구리 더 오른다”→30일 “내 탓이오”

▲골드만삭스 로고(사진=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미국 구리 가격이 크게 폭락하기 전,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고객들에게 '구리값 상승 베팅'을 권장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블룸버그통신이 3일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구리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내 구리값이 더 오를 것이란 관측에 수입 업체들은 관세 도입 전에 물량을 최대한 확보하려고 했고, 이로 인해 뉴욕상품거래소(COMEX)와 런던금속거래소(LME) 간 구리 가격의 격차가 확대되기 시작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8일 구리에 대한 관세율을 5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히자 이날 하루에만 COMEX에서 구리 가격은 13% 급등해 1989년 이후 하루 기준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0일 서명한 포고문에서 적용되는 품목들을 보면 구리로 마든 파이프, 와이어, 봉, 판(sheets), 튜브 같은 반제품과 관 이음쇠, 케이블, 커넥터, 전기부품 등 구리를 집중적으로 사용한 파생제품에만 50% 관세가 부과된다. 정제 구리를 포함한 구리 원료(input materials)와 폐구리(copper scrap)에는 50% 구리 관세도, 상호관세도 부과 대상이 아니다.
이는 시장 예상을 완전히 빗나가게 만든 조치로, 이 발표 직후 COMEX의 구리 선물 가격은 하루 만에 20% 가량 급락했다. 구리값이 하루 사이 20% 폭락한 것은 1968년 이후 처음이다.
소시에테제네랄의 마이클 헤이그 연구원은 “정제 구리가 빠진 이상, 미국과 세계 시장 간 아비트리지(차익거래)는 끝났다"며 “두 거래소 간 가격이 비슷해지는 패리티를 다시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목할 점은 골드만삭스가 포고문 발표 하루 전까지만 해도 미국 내 구리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주장한 부분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원자재 영업 팀은 지난달 29일 고객들과 진행한 회의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50% 구리 관세 부과를 추진해 구리값 상승 베팅인 단기 콜옵션을 매수하라고 주장했다.
COMEX와 LME의 가격차가 '구리 50% 관세'를 온전히 반영하지 않아 더 확대될 여력이 있다는 주장이다. 포고문 발표 전까지만 해도 COMEX 가격은 LME 가격보다 약 28% 높은 수준에 거래되고 있었는데 골드만삭스는 두 거래소 간 가격차가 35~4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일부 고객들은 미국이 인도네시아와 무역협정을 타결함에 따라 구리 관세가 일부 국가에 면제될 우려를 제기했지만 골드만삭스는 이를 일축하기도 했다.
그러나 다음날인 지난달 30일 트럼프 대통령이 정제 구리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전격 제외하기로 했다. 시장 충격으로 구리 가격이 폭락하자 골드만삭스 원자재 팀은 “구리 관세는 없었다. 내 탓이오"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고객들에게 발송했다.
이를 두고 블룸버그는 “원자재 분야에서 가장 존경받는 대형은행의 이같은 실수는 관세 정책이 시장을 얼마나 놀래게 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짚었다.
골드만삭스 이외에도 다른 헤지펀드와 투자은행들도 구리 가격 폭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소식통은 블룸버그에 말했다. 씨티그룹의 경우 지난달 30일 오전, 고객들에게 “우리 트레이딩 데스크는 구리의 아비트리지 거래를 선호한다"고 안내한 바 있다.
한편, 골드만삭스의 또다른 팀인 리서치팀은 지난달 28일 투자노트를 내고 COMEX와 LME 간 가격차에 따른 차익을 실현할 것을 권장했다. 미국이 다른 국가들과 '광물 동맹'을 맺어 구리 관세가 예고된 것보다 강력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