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관광재단 직원 박사학위 과정 지도교수 확인…각종 평가위원 수당 챙기기도
재단, 사업비 대비 3배 낮은 사업실적부터 가산점 부여…특정 업체 선정 의혹 증폭
![[단독]국립대 교수, '남도주류페스타' 심사평가서 신생업체 최고, 유력 경쟁업체는 최저](http://www.ekn.kr/mnt/file_m/202508/news-p.v1.20250804.68926802823e43a0b987a69a9501ec09_P1.jpg)
▲축제 운영대행 용역사의 제안서를 평가하는 위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부정 청탁한 의혹을 받는 국립목포대학교 A 교수가 지난해 전남도 주관 '2024 남도주류페스타' 평가위원으로 참여해 신생업체가 선정될 수 있도록 전남관광재단과 짬짜미한 의혹에 휩싸였다./제공=전남관광재단
전남=에너지경제신문 문승용 기자 축제 운영대행 용역사의 제안서를 평가하는 위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부정 청탁한 의혹을 받는 국립목포대학교 A 교수가 지난해 전남도 주관 '2024 남도주류페스타' 평가위원으로 참여해 신생업체가 선정될 수 있도록 전남관광재단과 짬짜미한 의혹에 휩싸였다.
4일 에너지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전남관광재단은 지난해 11월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나주시 빛가람호수공원 일원에서 개최했던 2024 남도주류페스타 운영 용역 입찰에서 신생업체 B 사를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신생업체 B 사가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된 과정을 살펴보면 업체별 제안서 정성평가에 참여한 7명의 평가위원 중 A 교수는 B 사에 최고(70)점수를 주고 나머지 참여업체에는 모두 최저점을 평가했다. 다른 평가위원 3명은 B 사에 63·64·66점을 줬다. 또 다른 평가위원 3명은 B 사에 최저·52·58점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평가는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뒤 나머지 위원들의 평가 점수를 합산해 산술평균한 점수로 진행된다.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는 평가위원들의 담합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주장이다.
특히 광주전남 일선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일반적인 입찰 공고에서는 사업비가 3억 원의 입찰가라고 가정하면 최근 3년 이내 3억 원 이상 사업실적이 있는 참여업체로 입찰을 제한하거나 정량평가 가산 점수를 더 높이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관광재단은 긴급으로 공고를 내면서 지역 제한으로 묶어 사업실적 입찰 제한을 산입하지 않는 치밀함도 보인다. 입찰 참여 제한은 지역이나 사업실적 등 한 가지만 제한할 수 있어서다.
여기에 더해 관광재단은 지난해 남도주류페스타 입찰 공고 정량평가에서 가산점으로 산정하는 사업실적을 1억 원부터 부여하고, 사업실적의 입찰 참여 제한 기준 금액없이 공고해 B 사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될 수 있도록 조력한 것 아니냐는 강한 의혹이 일고 있다.
더욱이 B 사는 남도주류페스타 사업 참여 당시 1억 원대 사업을 하청받아 진행한 사업실적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서류의 진위여부로 다툼이 일었었다.
이 당시 남도주류페스타 우선협상자 선정 의혹의 제보를 받아 취재 보도했던 C기자는 “그 업체(B사)가 하청받은 걸로 해서 실적을 올렸다"며 “원청에서 제공한 서류를 받아 제출한 것이 수상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C기자는 “실적은 있었는데 자기(B사)들이 직접 행사한 실적은 없었다"고 전했다.
이뿐만 아니라 A 교수는 사업 발주부서 직원 D 씨의 석사학위(2021~2022년) 과정 지도교수로 활동해 의혹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게다가 A 교수는 재단에서 제안서 등 평가위원으로 참여해 수년간 참여 수당으로 1회에 수십만 원에서 100만 원이 넘는 금액을 여러차례 받아 챙긴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남도주류페스타 정성평가 70점 만점 기준 90% 이상 60점대가 넘는 긍정평가를 한 평가위원들은 A 교수와 관광재단 발주부서 직원들과 밀접한 친분이 있거나 공생관계로 의심되는 위원들로 분석된다.
지난달 21일 에너지경제신문이 보도한 <국립대 교수 “축제·공연 대행용역 심사위원으로 선정해 달라" 부정 청탁…25명 명단도 건네?>기사에서 A 교수 일행이 재단 대표에게 25명의 심사(평가)위원 명단을 건넨 것으로 미루어 짐작하면 오는 9월 치러지는 명량대첩축제도 평가위원들의 짬짜미로 특정 업체 밀어주기 시도를 한 정황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업계에서도 늘상 의혹을 제기한 대목이다.
그도 그럴 것이 평가위원 명단은 발주 사업마다 달라지고 담당 직원과 업무보고 선상에 있는 임원 외 그 누구에게도 공유할 수 없는 비밀유지 정보로 관리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재단 각 사업부서에서 매년 사무비 등으로 지출하는 금액에서 일상경비보다 평가위원 참여 수당 지급이 과하다 싶을 만큼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재단의 운영시스템도 문제다. 재단이 '제안서 평가' 등 정상적인 사업으로 포장하고 추진하면서 평가위원에게 수당을 지급하고 관리하는 목적 사업비로 변질했을 소지가 다분해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종합하면 사업비가 큰 '협상에 의한 계약'에서 입맛에 맞는 특정 업체를 선정하는 '그들만의 리그'를 사전 정지 작업한 것으로 짐작게 한다.
이와 관련 재단 관계자는 “지난해 남도주류페스타 용역 발주 시 △지역 업체 배려 △사안의 긴급성 △업체의 전문성 등을 다방면으로 고려해 그중 업체의 전문성을 평가하려는 방법으로 발주처에 유사사업 수행실적 평가를 일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다만 유사사업 수행실적 기준금액 설정에 대해서는 별도의 기준이나 근거는 없고 발주처 재량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1억원 기준을 설정했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전남 지역에 1억 원 이상의 실적을 보유한 업체가 많지 않기 때문이며 1억원의 실적만으로도 용역 수행 가능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며 “해당 자료 재검토 결과 기준금액을 3억원으로 설정하였더라도 정량평가의 순위 및 점수 격차는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법률자문을 얻어 명확하게 해명을 완료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용역사 모집할 때 지역 업체 배려 차원에서 시간도 없고 해서 저희가 전남 업체랑 소통을 좀 빨리 해야 될 것 같아서 지역 제한을 걸고 기본적으로 할 수 있는 것들만 진행했다"며 “입찰 공고는 지역 제한이나 실적 제한 둘 중 하나만 할 수가 있어서 지역 제한을 걸었기 때문에 실적 제한까지는 걸 수가 없었다. 신청한 업체가 이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기준 금액 1억 원만 설정해 정량평가 사항으로 반영했다"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2021년부터 2022년도까지 목포대학교 관광학부 석사 과정을 수료했는데 A 교수가 지도교수였던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