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내수부진에 상반기 주춤…하반기 김치볶음면·메론킥 ‘해외출격’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15 16:19

상반기 매출 1조7608억…전년동기비 1.6%↑그쳐

해외 매출 4.7% 성장에도 내수부진·고정비 ‘발목’

‘신라면 김치볶음면’ 출시 준비…‘메론킥’ 북미 진출

농심

▲농심 본사 전경

농심이 올해 상반기 아쉬운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해외수출 증가에도 내수부진이 발목을 잡은 탓으로, 농심은 하반기 신제품 글로벌 출시를 통해 해외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는 방침이다.




15일 농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1조7608억원, 영업이익 962억원을 올려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1.6%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8.4% 감소했다.


2분기 실적만 보면 매출은 8677억원으로 0.8%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402억원으로 8.1% 감소했다.



상반기 매출 증가율이 1%대에 그친 이유는 해외매출 증가에도 장기간 지속된 내수부진에 국내 매출이 제자리걸음을 보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농심은 상반기 전체 매출의 71.3%를 차지하는 국내법인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0.4% 증가하는데 그쳤다. 라면 등 면 사업은 가격인상과 신제품 출시 효과로 매출이 지속 성장했으나 스낵과 음료 제품 매출은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전체 매출의 28.7%를 차지하는 해외법인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4.7% 성장하며 국내보다 해외시장에서 선전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일본에서는 신라면 툼바 등 신라면 제품군이 현지 편의점 등에서 판매가 증가해 전년동기대비 29.8% 매출이 증가했고, 베트남(16.7%), 호주(14.6%) 등에서도 두 자릿 수 매출 증가를 기록했다. 유럽에서도 현지 판매법인 설립 이후 발생한 매출 90여억원이 상반기 실적에 반영됐다.


영업이익의 경우, 내수부진에 따른 매출 둔화에 더해 원가비용 및 고정비 상승, 북미 관세 영향 등이 발목을 잡았다.


2분기 국내제품 가격을 인상했음에도 소비침체로 인해 매출 회복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인건비와 판관비가 지난해 상반기보다 각각 4.4%, 1.5% 증가하는 등 고정비 지출 증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여기에 더해 원가비용도 증가했고 미국·캐나다 지역간 거래에서의 관세 영향도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졌다. 북미지역 관세 여파로 대 미국·캐나다 수출은 각각 1% 안팎씩 감소했다.


농심은 올해 하반기 해외수출 확대에 힘을 실을 방침이다.


우선 '신라면 툼바'의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하반기 '신라면 김치볶음면' 출시를 준비 중이다. 아시아 지역을 시작으로 북미 등으로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볶음면 라인업을 확장하고 해외매출 비중을 높일 방침이다.


'바나나킥'을 이은 '메론킥'도 국내 인기에 힘입어 북미지역 수출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이밖에 페루와 일본 등에서 선보인 '신라면 분식', '너구리의 라면가게' 등 체험 마케팅도 지속 강화할 방침이다.


농심은 부산 녹산공장 부지에 건설 중인 수출 전용 공장도 내년 하반기 완공해 오는 2030년까지 수출 비중을 현재의 20~30%대에서 60%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업계는 미국 현지에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농심은 미국 상호관세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것으로 보이지만, 보편적 상호관세 여파로 미국 물가상승이 소비위축으로 이어지면 농심 역시 현지 유통 및 가격 전략 재정립을 고민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희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