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타항공 운항 ‘한발 앞으로’…LCC 출혈경쟁 부추길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17 15:05

항공운항증명(AOC) 핵심절차 비상탈출시험 통과

“이른 시일 내 AOC 취득 마치면 상업운항 나설것”

업계도 3분기 취항 가능 전망…LCC 9개사로 늘어

기존 LCC 실적 저조에 공급 확대로 업황악화 우려

파라타항공 A330-200 여객기

▲파라타항공이 도입한 A330-200 여객기. 사진=파라타항공 제공

파라타항공(옛 플라이강원)이 항공운항증명(AOC) 취득의 핵심 절차인 비상탈출 시험을 통과하며 첫 상업운항에 한 발 다가섰다.




1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파라타항공은 최근 도입한 A330-200 여객기에서 진행한 비상탈출 시험을 통과했다. 1차 시험에서 탈락한 후 두 번째다.


항공기 비상탈출 시험은 승무원들이 비상 상황 발생 시 승객들을 안전하게 탈출시키기 위한 훈련으로, 기장의 탈출 명령 후 승무원이 항공기 문을 열고 비상탈출용 슬라이드를 펼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 시험에서 항공기는 15초 이내에 슬라이드를 전개해야 하고, △비상 탈출 슬라이드 작동 △승객 안내·구호 △비상구 개방 등을 실제와 같이 하게 된다.


이는 전문 인력·시설·장비·운항·정비 지원 체계 등 항공사가 안전하게 항공기를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는지를 국토교통부가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항공 운항 증명(Air Operator Certificate) 취득을 위한 필수 절차 중 하나다. 항공 운송 사업을 시작하려면 AOC가 필수적인데 85개 분야, 약 3000개의 검사 항목이 포함된다.




파라타항공 관계자는 “현 시점까지 첫 상업 운항일은 정해진 바 없다"며 “이른 시일 내에 AOC 취득을 마치면 영업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파라타항공이 3분기 중에는 운항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경우 국내 저비용 항공사(LCC)는 파라타항공을 포함, 제주항공·티웨이항공·진에어·에어부산·이스타항공·에어서울·에어로케이항공·에어프레미아를 포함 9개로 늘어난다.


파라타항공의 가세로 LCC업계의 출혈경쟁 심화와 재무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시장 참여자가 늘어날 경우 소비자 복리 수준은 높아지나 척박해지는 영업 환경 탓에 출혈 경쟁이 벌어지고, 이 같은 이유로 경영 실적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진에어는 지난해 상반기 영업이익 9억446만원을 기록했지만, 올해에는 422억8612만원 적자를 냈다.


진에어 측은 공시를 통해 “시장 내 좌석 공급 증대 등의 영향으로 경쟁이 격화돼 전년 상반기 대비 올해에는 수익성이 하락했다"고 언급했다. 티웨이항공도 업계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DART)에 따르면 청주국제공항을 허브로 삼는 에어로케이는 상태가 더욱 심각하다. 지난해 자본 총계는 -805억1854만원, 부채 총계는 2133억6410만원으로 집계된다. 2023년에도 이미 324억5144만원 완전 자본 잠식 상태였고 부채 총계는 1161억1126만원이었는데 적자가 쌓여 더욱 악화된 것으로, 재무 건전성이 우려된다.


50% 넘는 부분 자본 잠식 상태가 1년 이상 지속되거나 완전 자본 잠식 상태에 빠지면 국토부는 항공 운송 사업 면허의 취소 등을 규정한 항공사업법 제28조 16에 따라 재무 구조 개선 명령을 내릴 수 있다. 항공사들이 재무 상태 악화 시 안전 투자에 소홀해져 소비자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항공 관리 당국의 꾸준한 감시가 요구된다.


항공관리당국 못지 않게 항공사들이 수익성 제고를 위한 위험 관리전략을 강화하고, 당국의 꾸준한 감시 속에서 안전 투자가 소홀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항공업계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송운경 한국항공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연구 결과 국내 항공사가 수익성 제고와 변동성 감소를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파생상품을 이용한 위험 관리를 할 필요성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송 교수는 “동시에 헤지 목적 파생상품의 남용을 막고 책임 소재를 분명하게 하면서도 시의적절한 대응을 위해 위험관리 방안에 대한 이사회 승인을 받은 정책을 문서화하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규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