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맛집’ 팔란티어, 주가 하락으로 2조 수익…더 떨어질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8.21 14:32
PALANTIR TECH-RESULTS/

▲팔란티어 로고(사진=로이터/연합)

미국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주가가 고평가 논란 속에 6거래일 연속 급락한 가운데 이 기간 주가 하락에 베팅한 공매도 투자자들은 2조원에 달하는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하락에도 불구하고 팔란티어 주가가 여전히 높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되자 공매도 투자자들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팔란티어 주가는 전장대비 1.1% 하락 마감한 156.01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정부와 굵직한 계약을 등에 업고 지난 2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팔란티어 주가가 지난 13일 장중 189.46달러까지 오르면서 신고가를 경신했지만 그 직후 이날까지 6거래일 연속 밀린 것이다. 이는 지난해 4월 이후 가장 긴 하락세로 시가총액은 730억달러(약 102조원) 증발했다.


팔란티어 주가가 이 기간 17% 넘게 빠지는 동안 공매도 투자자들은 상당한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은 데이터 분석업체 S3 파트너스는 이번 하락으로 공매도 투자자들이 16억달러(약 2조2300만원) 규모의 수익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올해 연초부터 공매도에 나섰던 투자자들의 미실현 신실은 45억달러(약 6조2900억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 거래일 동안 팔란티어 주가는 S&P500 기업 중 최악의 성과를 냈지만 연초 대비 수익률은 여전히 육박하기 때문이다.


팔란티어 주가가 올해 내내 오르는 과정에서 공매도 포지션이 일부 청산되기도 했다. 유통 주식 대비 팔란티어 공매도 비중은 1년 전인 약 5%에서 현재 2.5%로 하락한 상태다.




그러나 팔란티어 주가가 고평가됐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AI 거품 논란이 커지자 투자자들이 다시 공매도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인터뷰에서 15초의 발언 중 거품이라는 단어를 세 차례 언급했다. 미 매사추세츠공대(MIT)는 생성형 AI에 투자한 기업의 95%가 수익을 내지 못했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여기에 공매도 투자자로 잘 알려진 앤드루 레프트의 시트론 시러치는 보고서를 내고 팔란티어 주가가 “펀더멘털에서 벗어난 범위"라며 “최근 5000억달러 가치를 인정받은 오픈AI의 주가매출비율을 적용할 경우 팔란티어 주가는 40달러 수준이 적당하다"고 꼬집었다.


CNBC는 “팔란티어 주가 하락에도 선행 PER(주가수익비율)이 193배라는 점은 빅테크 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주가가 여전이 비싸다"고 지적했다.


또 IT전문 매체 구루포커스는 “월가 8곳 중 2곳만 매수 의견을 내놨다"며 “제프리스와 HSBC는 팔란티어의 성장을 주목했지만 주가가 이미 기대치를 반영했다고 경고한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팔란티어 매도세는 예전부터 예상돼왔던 부분이고 공매도 투자자들이 주도한 것이 아니다"라며 “주가가 조금이라도 반등하면 공매도 투자자들이 다시 돌아올 것"이라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이어 “팔란티어 주가가 하락세로 접어들었다는 부분을 보여줬다"며 추가 하락 가능성을 제기하면서도 기술적 반등이 강할 것을 대비해 “숏 포지션 진입에 신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