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자 KAIST 이사장 워크숍 기조연설
인류, 기후·AI·핵 등 ‘다중위기’ 맞아
종합 시각에서 접근하고 해결책 찾아야
“과학기술과 리더십의 결합이 필수적”

▲김명자 KAIST 이사장이 22일 열린 'KAIST 녹색성장 및 지속가능성 워크숍'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KAIST)
김명자 KAIST 이사장은 22일 대전 유성구 KAIST 문지캠퍼스에서 열린 '2025 KAIST 녹색 성장 및 지속가능성 워크숍 (Green Growth & Sustainability Workshop)'에서 “기후 다중위기(Climate Poly-crisis) 시대에는 과학기술과 리더십의 결합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KAIST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GGGS)이 주관한 이날 워크숍에서는 KAIST 소속 여러 연구팀이 참석해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한 총 32편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공유했다.
김 이사장은 이날 행사 기조연설에서 45억 년의 지구 역사와 인류 문명.산업 발전사를 짚었다. 김 이사장은 “지구는 다섯 번의 대멸종을 겪었지만, 지금 맞닥뜨린 여섯 번째 위기는 인류 스스로 만든 위기"라고 지적했다.
그는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는 인공지능(AI) 오작동, 핵 위협, 생물무기, 팬데믹, 기후변화 등이 서로 얽힌 '기후 다중위기(poly-crisis)' 상황을 언급했다.
김 이사장은 “이 다중 위기는 단일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방식으로는 극복할 수 없으며, 종합적인 시각에서 접근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기술 혁신과 국제 협력, 그리고 이를 이끌어갈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특히 과학기술계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기후위기는 더 이상 환경 분야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생존과 인류 미래를 좌우하는 핵심 변수"라고 밝혔다.
그는 “기후위기 극복은 과학기술이 중심이 돼야 하지만, 과학기술의 힘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이를 사회적 합의와 글로벌 거버넌스로 연결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KAIST가 녹색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혁신 연구의 허브가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워크숍에서는 탄소중립 기술, 에너지 전환, 기후금융, ESG(환경.사회.지배구조), AI 기반 기후 시나리오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발표됐다. 특히 젊은 연구자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적 접근법이 주목을 받았다.

▲22일 열린 'KAIST 녹색성장 및 지속가능성 워크숍' 참석자들. (사진= KAIST)
KAIST 측은 이번 워크숍은 단순한 학술행사가 아니라, 기후위기 속에서 KAIST가 '미래형 리더십'의 모델을 제시하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엄지용 KAIST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장은 “이번 워크숍은 KAIST 내부의 학제 간 협력을 실질적 행동으로 옮긴 첫 단계"라며 “앞으로 국제 공동연구로 확장해 기후위기 대응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