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월 AI 연구개발 전담조직 출범
직원 73명 중 90%가 석·박사
AI 기술 내재화...하나금융 관계사로 확산
금융·비금융 분야서 기술 연구 매진
“직원들 고부가가치 분야 집중 환경 조성”
“실질적 기술 지속 개발하겠다” 포부

▲하나금융그룹.
하나금융그룹의 인공지능(AI) 연구개발 전담 조직인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이 최근 8년간 260건이 넘는 연구 과제를 수행하며 그룹 AI 혁신의 산실로 거듭나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은 하나금융그룹이 2018년 1월 금융권 최초로 꾸린 AI 연구개발 전담조직이다.
그룹의 디지털 혁신을 위해 하나금융티아이(TI)의 사내 독립기업(CIC)으로 출발했다.
설립 초기 인원은 10명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전체 73명의 직원 중 약 90%가 석·박사로 구성된 금융권 AI 전문 연구기관으로 성장했다.
지난 8년간 총 262건의 연구 과제를 수행해 AI 기술을 내재화하고, 이를 은행·증권·보험 등 하나금융그룹 관계사로 확산시키고 있다.
최근 하나은행이 부모회원, 아이회원이 함께 사용하는 체험용 금융플랫폼 아이부자 앱에서 '아이부자 앱 장래희망 사진전 이벤트'를 실시했는데, 여기에도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의 기술이 반영됐다. 자녀의 사진과 장래희망을 입력하면 장래희망이 반영된 가상의 이미지를 제작해 주는 해당 이벤트에 5000건 이상의 이미지가 생성되며 인기를 끌었다.
이는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이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기술을 통해 구현됐다. 하나은행이 은행권 최초로 AI 명함을 출시했을 때도 이 기술이 사용됐다.
생성형 AI 기술은 단순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AI-OCR(광학문자인식)과 결합해 문서 이미지를 자동 인식하고, 여신심사, 청구 등 대량의 문서처리를 자동화해 업무시간을 줄여준다.
AI-OCR 기술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연간 8만여 건의 문서를 처리하는 하나은행의 수출입문서 핵심내용 자동 추출 ▲하나증권 IRP 계좌 과세이연정보 등록 자동화 ▲하나손해보험의 자동차 주행거리 인식 등이 있다.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은 현재 ▲데이터사이언스(신용평가, 손님관리, 이상거래탐지) ▲자산관리(AI Quant)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AI 플랫폼 ▲블록체인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금융·비금융을 가리지 않고 향후 기업이 성장해 나가는데 꼭 필요한 기술들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특히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은 자체 역량을 확보해 AI 기술을 내재화 하고 있어 금융 분야 손님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기술에만 의존할 경우 복잡한 업무 등 금융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다.
하나금융융합기술원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자체 역량을 기반으로 높은 금융 업무 이해도와 지속적인 재학습을 거쳐 금융업의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내재화된 역량을 바탕으로 외부 전문 기술 기업과 협업해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하나금융융합기술원 관계자는 “하나금융융합기술원 연구는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쓰여야 하는 기술인만큼 각 기술의 로드맵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며 “8년간의 누적된 결과를 통해 그룹 임직원들이 고부가가치 서비스에 집중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 대한민국 최고의 금융그룹으로 성장할 수 있는 실질적 기술을 지속 개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