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플랜트 의존 한계 드러나자 에너지·데이터·환경으로 축 이동
삼성물산, 태양광·수소·SMR 전환 가속…“성과 공개 임박”
GS건설, GS이니마 지분 100% 매각…‘선택과 집중’ 전략
한화건설, 복합개발·데이터센터·환경사업 확대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 인구 고령화 등으로 건설 사업의 수익 모델이 흔들리면서 대형 건설사들 위주로 새로운 사업 분야 개척이 활발하다. 에너지·데이터·환경 인프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는 데 단순한 '새 먹거리'가 아니라 구조 전환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GS건설·한화건설은 최근 신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글로벌 자산 매각, 복합개발·데이터센터 확충 등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하반기 전략의 한 축을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뒀다. 회사 관계자는 “태양광·수소·SMR(소형모듈원전) 분야에서 수십 차례 업무협약(MOU)을 맺고 준비를 해왔다"며 “올해는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삼성물산은 괌 태양광 사업을 다시 추진 중이며, 카타르에서도 태양광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 관계자는 “시공에 그치지 않고 투자까지 연계해 수익을 내는 구조도 검토하고 있다"며 “성과가 곧 공개될 것이다. 사인 절차가 끝나는 대로 알려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삼성물산은 올해 초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를 신설하는 등 조직 개편도 단행했다. 회사는 “주택 매출 비중을 25% 이상으로 올려본 적이 없다"며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강조했다. SMR·수소 사업은 미국, 동유럽, 중동(오만) 등에서 사업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진전된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아직 성과 전 단계라 구체적인 수치를 단정하기는 이르다"고 덧붙였다.
GS건설은 글로벌 수처리 자회사 'GS이니마' 매각을 성사시켰다. 지난 22일 UAE 국영 에너지사 타카(TAQA)와 지분 100% 매각을 위한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고, 전날 이를 공식화했다. 거래 규모는 기업가치 기준 12억 달러(약 1조6770억 원)다. GS건설 100% 자회사인 글로벌워터솔루션이 보유한 GS이니마 지분을 전량 넘기는 구조로, 계약은 각국 규제 승인 절차를 거쳐 2026년 하반기 마무리될 예정이다.
GS이니마는 2012년 GS건설이 80.4%를 인수한 뒤 100% 자회사로 편입한 글로벌 수처리 기업이다. 브라질·중동·유럽에서 담수화·폐수처리 인프라를 운영해왔으며, 지난해 매출은 5736억 원, 순이익은 558억 원을 기록했다. GS건설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확보한 현금을 주력 사업과 신사업으로 재배치해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업계에서는 “알짜 자산을 팔아 재무 유연성을 확보했다"는 평가와 “성장성이 높은 물 인프라를 접었다"는 우려가 엇갈린다. 관건은 확보한 현금이 어디로, 얼마나 빨리 성과로 이어지느냐다.
한화건설은 복합개발·데이터센터·환경사업을 신성장 축으로 삼았다. 서울역 북부역세권(2029년 완공 목표), 수서역 환승센터(지하 8층~지상 26층, 9개 동), 잠실 스포츠·마이스(실시협약 추진) 등 초대형 복합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단순 시공을 넘어 개발·운영까지 아우르는 디벨로퍼 모델을 확장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분야에서는 KT 강남 IDC, 신한금융 통합DC, 안산 카카오 DC, 동탄 삼성SDS DC 등 11건의 실적을 확보했다. 현재는 창원 하이퍼스케일 IDC 클러스터 등 대규모 프로젝트 2건도 공사 중이다. 공연장 분야에서는 필리핀 아레나(5만5000석), 인스파이어 아레나(1만5000석) 실적을 토대로 서울 아레나(1만8000석)를 진행하고 있다.
환경 인프라 사업도 확대됐다. 대전 하수처리장 현대화(7214억 원), 천안(2123억), 평택 통복(2146억) 등 대형 민간투자사업을 수주하며 레퍼런스를 쌓았다. 올해 1분기 한화건설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13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9% 늘었다. 매출은 6536억 원으로 32% 줄었지만 이는 대형 준공과 일부 플랜트 양도 영향이라는 게 회사 설명이다.
삼성물산·GS건설·한화건설의 행보는 다르지만 공통 키워드는 분명하다. 주택과 도급 위주 수익 구조의 한계를 인정하고, 에너지·데이터센터·환경 인프라를 새로운 현금흐름 축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요즘 시장 침체로 건설사들도 주택만 바라볼 수 없는 상황"이라며 “각사마다 방식은 다르지만 결국은 다른 먹거리를 찾기에 분주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