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 지방소멸 고위험지수에도 인구 활력 ‘성장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01 13:59

지방소멸대응기금 472억 확보·대규모 프로젝트 추진…귀농‧귀촌·청년정책 집중





1

▲사진=청도군청 전경

청도=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도군이 차별화된 정착 지원과 대규모 투자 유치로 지방소멸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있다.



◇고령인구 45.3%…소멸 고위험 진입



청도군의 지방소멸위험지수는 0.11로 소멸 고위험 지역에 해당한다.


전체 인구 4만여 명 중 45.3%가 고령인구로, 10년 전보다 32.4% 증가한 수치다. 급속한 고령화로 지역 활력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1

▲제공=청도군

◇대응기금 '우수' 평가…472억 확보


그러나 청도군은 적극적인 정책 추진으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


2025년 행정안전부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를 받아 역대 최대 규모인 160억 원을 확보했고,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총 472억3,800만 원을 확보했다.


이 기금으로 지난 7월 문을 연 어린이 물놀이장 빛나래상상마당은 개장 3주 만에 1만여 명이 찾으며 지역민은 물론 외부 관광객 유입에도 크게 기여했다.




1

▲제공=청도군

◇청도자연드림파크·고향올래 사업 본격화


청도군은 행정안전부 고향올래 사업과 경북도 인구활력 공모사업을 통해 27억 원 이상의 예산을 추가 확보했다.


여기에 민간자본 2,500억 원을 포함한 총 3,500억 원 규모의 청도자연드림파크가 조성되면 1천 명 이상 인구 유입과 700여 개 일자리 창출이 예상돼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

▲제공=청도군

◇생애주기 맞춤형 지원…정주여건 개선


군은 귀농 정착금, 신혼부부·청년·임신·출산 가정을 대상으로 한 지원정책을 확대해 1인당 최대 2억5,700만 원 상당의 생애주기별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24시간 아이돌봄 서비스, 월 1만 원대부터 10만 원대까지의 임대주택 146호 공급 등 주거와 양육 지원을 강화해 인구 유입자의 안정적 정착을 돕고 있다.




1

▲제공=청도군

◇현장 목소리 “안정적인 삶 가능해져"


서울에서 귀촌한 30대 김모 씨는 “청도군의 정착 지원 덕분에 귀농 초기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며 “아이돌봄 서비스와 생활 인프라가 갖춰져 있어 가족이 함께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확신이 생겼다"고 말했다.


또 청년 임대주택 입주를 앞둔 대학 졸업생 이모 씨는 “도심에서는 월세 부담이 너무 컸지만 청도에서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주거를 해결하고 창업 준비까지 할 수 있다"며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기회가 주어지고 있어 만족스럽다"고 전했다.




1

▲제공=청도군

◇생활인구·방문객 수 증가…발전 가능성 증명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청도군 생활인구는 주민등록 인구의 7.8배를 넘는 34만 명으로 경북 내 1위, 전국 7위를 기록했다.


특히 경북도 시군 장래인구추계 보고서에 따르면 도 전체 인구는 20년 뒤 약 10% 감소가 예상되지만, 청도군은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다.


또 한국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청도 방문객 수는 254만 명으로 전년 대비 6.4% 늘어나, 관광·인구 유입 모두에서 높은 성장 잠재력을 확인시켰다.



1

▲김하수청도군수 제공=청도군

◇“청도, 소멸 아닌 성장으로"


김하수 군수는 “청도군이 소멸이 아닌 성장의 미래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청년, 신혼부부, 출산·양육 가정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누구나 살고 싶은 매력적인 도시로 발전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손중모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