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태백 주민들 “석포 제련소 이전은 지역 소멸”…생존권 걸고 대규모 집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9.25 17:30

“제련소 이전은 사실상 폐쇄…지역 경제 붕괴 불 보듯 뻔해”
‘봉화·태백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 결성, 대정부 투쟁 선포

영풍 석포 제련소 이전을 반대하는 봉화·태백 주민들이 대규모 집회를 벌이는 모습. 사진=독자 제공

▲영풍 석포 제련소 이전을 반대하는 봉화·태백 주민들이 대규모 집회를 벌이는 모습. 사진=독자 제공

경북 봉화군과 강원 태백시 주민 수백 명이 정부와 경상북도가 추진하는 영풍 석포 제련소 이전에 맞서 생존권 사수를 외치며 대규모 궐기 대회를 열었다. 주민들은 '제련소 이전은 곧 지역의 소멸'이라며 공동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계획이 철회될 때까지 결사 항전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25일 오후 봉화군 석포면에서 열린 집회에서 '봉화·태백 생존권 사수를 위한 공동투쟁위원회'는 제련소 이전 계획에 대해 “주민들의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빼앗는 폭거이자 지역 말살 정책"이라며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1970년 설립 이후 반세기 넘게 지역 경제의 버팀목이 돼온 석포 제련소가 사라지면 수많은 일자리가 없어지고 봉화와 태백의 공동체 자체가 붕괴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재한 공동투쟁위원장(봉화청년회의소 회장)은 “석포 제련소는 대한민국 산업화의 초석이었고 지난 50년간 우리 지역의 생명줄이었다"며 “정부가 일부 환경단체의 주장만 듣고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일방적인 결정을 내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우리도 환경의 중요성을 외면하지 않으며, 제련소 역시 친환경 공정 개선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다"면서 “합리적인 대화 대신 이전과 폐쇄라는 극단적 처방을 내세우는 정부의 태도에 죽기를 각오하고 투쟁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영풍 석포 제련소 이전을 반대하는 봉화·태백 주민들이 대규모 집회를 벌이는 모습. 사진=독자 제공

▲영풍 석포 제련소 이전을 반대하는 봉화·태백 주민들이 대규모 집회를 벌이는 모습. 사진=독자 제공

임광길 석포면현안대책위원장 역시 “이 투쟁은 단순히 제련소를 지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과 아이들의 미래를 지켜내는 싸움"이라며 “우리의 생존권과 재산권을 지키기 위해 한 치의 물러섬도 없이 끝까지 싸우겠다"고 결의를 다졌다.


주민들은 제련소 이전을 환경 문제로만 접근하는 것에 강한 불만을 표했다. 이들은 제련소가 무방류 시스템과 대기·수질 개선 설비 등 수십 차례에 걸쳐 환경 투자를 진행해왔다며 현 시점에서의 이전 추진은 환경 개선 목적이 아닌 정치적 판단이라고 주장했다.


공동투쟁위원회는 이날 집회에서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 및 폐쇄 계획 즉각 중단 △영풍 측의 이전·폐쇄 관련 명확한 입장 표명 및 문서화 △이전 강행 시 주민 생존권과 지역 경제 붕괴에 대한 완벽한 보장 대책 및 환경 원상 복구책 제시 △경상북도 '영풍 제련소 이전 TF팀' 즉각 해체 및 이철우 경북지사의 사과 등 4개의 요구 사항을 담은 결의문을 채택하고 중앙정부에 전달할 계획이다.


한편 경상북도는 석포제련소 이전을 위한 전담팀(TF)을 구성해 타당성 조사와 종합 대책 수립을 진행 중이어서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과 충돌이 예상된다. 주민들은 앞으로도 지역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투쟁의 강도를 더욱 높여갈 방침이다.



박규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