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전환·수요 회복, 실적 반등 동력 부각
감가상각비 부담 축소로 수익성 개선 가속화
3Q 영업익 4000억대 전망, 장기 성장도 기대

▲사진=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가 최근 4년여간 이어진 적자의 고리를 끊어낼 가능성이 점쳐진다. 9월 들어 주요 증권사들이 일제히 목표주가를 상향하며 실적 반등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2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가는 LG디스플레이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이 4000억원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전년과 전분기 대비 모두 흑자 전환에 해당하는 수치다.
증권사별로는 △신한투자증권 4579억원 △iM증권 4579억원 △대신증권 4480억원 △키움증권 4855억원 △현대차증권 3470억원 등으로 제시됐다.
LG디스플레이는 2021년 2조230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이후, 2022년 -2조850억원으로 적자 전환한 뒤 2023년 -2조5101억원, 2024년 -5606억원, 2025년 상반기 -825억원까지 4년 가까이 적자가 이어졌다. 지난해 매출은 26조6153억원으로 전년 21조3308억원 대비 큰 회복세를 보였으나, 수익성은 좀처럼 반등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증권가에서는 LG디스플레이가 올 하반기를 기점으로 국면 전환이 가능하다고 본다. 주요 증권사들은 공통적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심의 체질 개선, 감가상각비 부담 축소, 신제품 효과 등을 근거로 하반기 흑자 전환을 전망하고 있다. 일부 증권사는 3분기를 기점으로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적자 흐름을 끊고 분기 최대 실적에 근접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놨다.
수요 반등 흐름이 증권가의 기대감을 더욱 키우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최근 글로벌 IT·가전·모바일 수요 회복 조짐과 맞물려 OLED 중심의 사업구조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형 OLED에서 TV와 상업용 사이니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하이브리드·투명 OLED 등 차세대 제품군을 늘리고 있다. 중소형 OLED 부문은 플렉서블·폴더블 패널과 IT용 고해상도 제품을 중심으로 공급을 확대하며 고객 기반을 넓히는 중이다.
업계에서는 프리미엄 IT기기용 OLED 라인 증설과 자동차용 P-OLED(플라스틱 OLED) 확대가 본격화되면서 향후 수익구조 개선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그간 발목을 잡았던 감가상각비 부담이 올 하반기부터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키움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감가상각비가 2024년 5조1000억원에서 2025년 4조3000억원, 2026년 3조7000억원으로 줄어들며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강조점은 달랐다. 대신증권은 액정표시장치(LCD) 철수와 고정비 절감 등 구조적 원가 개선을, 키움증권은 아이폰17과 신형 워치 효과 같은 단기 모멘텀을, 현대차증권은 신규 라인업 확대와 가동률 상승 등 생산 효율 개선을 강조했다.
신한·iM증권은 단기 흑자 전환 전망에 그치지 않고, 2026년 영업이익이 1조5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장기 성장성을 함께 제시했다. OLED TV 대형화, 폴더블·노트북용 OLED 확대, LCD 제품 믹스 개선 등이 중장기 실적의 추가 동력으로 지목됐다.
밸류에이션 측면에서도 증권사들의 시선이 달라지고 있다. 신한투자증권과 키움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목표주가를 기존 1만3000원에서 1만6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iM증권은 1만2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현대차증권은 1만2000원에서 1만5500원으로 올렸다
김종배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P-OLED의 계절적 성수기 진입과 스마트워치 신제품 출시 효과, W-OLED 가동률 증가 등으로 OLED 전 라인업에서 외형 성장이 예상된다"며 “원가구조 혁신 효과까지 더해지면서 하반기 실적은 대규모 턴어라운드를 기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