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100세까지 활력 넘치는 도시 조성 ‘박차’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0.01 04:22
박해경 광명시 사회복지국장 30일 정책브리핑에서 '초고령사회 대비 광명시 노인정책' 설명

▲박해경 광명시 사회복지국장 30일 정책브리핑에서 '초고령사회 대비 광명시 노인정책' 설명. 제공=광명시

광명=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박해경 광명시 사회복지국장은 30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정책브리핑에서 “광명에는 현재 3기 광명시흥신도시, 광명시흥테크노밸리 등 도시 발전 전환기를 맞아 고령 친화적 도시환경을 물리-사회적으로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100세 시대! 노인이 살기 좋은 광명'에 걸맞은 맞춤형 노인 정책을 설명했다.




특히 “어르신들이 삶의 주체로서 활기차고 존엄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사회 참여 확대부터 존엄한 삶의 마무리 지원까지 포괄적인 지원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광명시는 올해 전체 예산 중 9.8%에 해당하는 1557억원을 노인 정책에 투입해 사회 참여, 경제적 자립, 건강 증진, 웰다잉 등을 추진하고 있다.



노인위원회 중심 '소통형 거버넌스' 구축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대한민국은 작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전체에서 20%를 넘어서며 유엔(UN)이 정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광명시는 올해 8월 말 기준 65세 이상 노인이 5만3069명으로 전체 인구의 18.4%를 차지해 광명시 차원에서 체계적인 초고령사회 대응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광명시는 이에 따라 2020년 11월 전국 최초로 시장 직속 노인위원회를 설치했다. 노인위원회는 사회안전망-건강증진-일자리 등 3개 분과로 구성돼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총 170건 정책을 제안했다.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이 중 70여건이 정책에 반영됐다. 시니어 카페를 비롯해 '경로당 스마트 운동기기 지원', 인지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인생정원 조성', '어르신 이(e)스포츠 대회' 개최 등이 대표적인 예다. 앞으로도 광명시는 노인위원회를 중심으로 노인 요구와 제안을 시정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역량 강화 지원, 급변하는 디지털 소외 해소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사회에 노인이 적응할 수 있도록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스마트 경로당'이다. 광명시는 올해 1월 전국 최초로 관내 모든 경로당 112곳에 원격 화상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스마트 경로당'을 구축했다.


원격 화상 시스템은 노래자랑 등 일회성 행사에 국한하지 않고 노래교실, 치매예방교실, 건강체조교실, 디지털교실 등 노인 맞춤형 정기 프로그램 운영에도 활용되고 있다.


노인은 스마트 경로당에서 시공간 제약 없이 교육-여가 프로그램을 누릴 수 있다. 더구나 경로당 내 설치된 스마트 오락-교육-운동기기를 사용하며 디지털 기술과 친숙해질 기회가 넓어졌다.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특히 올해 7월에는 소하-하안 노인복지관 2곳에 '스마트팜'을 도입해 노인에게 비교적 친숙한 도심 농사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스마트 기술로 직접 작물을 재배- 유통하며 사회참여 기회도 넓히고 성취감도 느낄 수 있게 됐다.


디지털 교육과 디지털 기반 여가 활동도 지원한다. 소하-하안 노인종합복지관은 기초 스마트폰 사용법부터 엑셀-챗지피티(GPT)-유튜브 제작까지 다양한 디지털 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더해 뱅크잇, 우리금융미래재단, 시니어금융교육협회 등과 협력해 시니어 디지털 금융 교육도 실시한다.


'활기찬 노후' 사회참여-맞춤형 일자리 확대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는 노인이 사회 일원으로 당당하게 나설 수 있도록 일자리를 대폭 확대했다. 올해 8월 말 기준 55개 사업에 3384명 노인이 참여하고 있다. 이는 2021년 대비 65% 이상 증가한 성과다. 이런 성과 뒤에는 2021년 설치된 노인 일자리 전담기관 '광명시니어클럽' 역할이 컸다.


광명시니어클럽은 카페와 같이 시장형 일자리 사업 추진을 위해 시장조사 등 전문적인 분석을 거쳐 시니어 카페(카페20, 카페 레포소 등), 샐러드 가게(샐러디아) 등을 운영한다.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각 점포는 노인이 직접 주문 받고 음료와 음식을 만드는 등 운영에 참여하고 있어 수익 창출에 따른 성취감도 높다.


광명시 노인 일자리 현황은 일시적 일자리를 제공하는 '공익 활동형' 비중이 매년 줄어들고, 경험과 역량을 적극 발휘할 수 있는 '역량 활용형' 비중이 2022년 15%에서 올해 24%로 확대됐다. 내년에는 광명동에 디지털 직업훈련 교육장을 마련해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노인 디지털 전문가를 양성할 계획이다.


존엄성 고수, '맞춤형 통합돌봄-웰다잉' 지원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광명시는 건강하고 행복한 노년 생활을 유지하며,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존엄성을 지킬 수 있도록 맞춤형 돌봄과 웰다잉(well-dying)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운영을 비롯해 100세를 맞은 시민에게 50만원 상당 축하 물품을, 3세대 가구에는 효행 장려금 30만원도 지원한다.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광명시 30일 정책브리핑 발표 자료. 제공=광명시

아울러 저소득층 노인 대상포진 무료 접종 지원, 노인 인권지킴이 제도, 찾아가는 한방 진료 사업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삶을 존엄하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웰다잉 특강'과 자서전 작성 프로그램인 '인생노트'도 운영한다. 정서-사회적 불안을 덜고 삶의 의미를 되새기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매년 평균 1700명 이상 노인이 참여하고 있다.



강근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