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시내버스 노사 협상 극적 타결, 교통대란 피했다

▲1일 오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경기도 버스 노사 협상장을 방문하여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경기=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경기도 시내버스 노사 갈등이 극적인 합의로 마무리되며 도민들의 출근길 교통대란 우려가 해소됐다.
경기도버스노동조합협의회와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1일 새벽까지 이어진 최종 임금협상에서 합의안을 도출했고 이에 따라 예고됐던 총파업은 철회됐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새벽 경기지방노동위원회 협상장을 직접 찾아 노사 양측에 감사를 전하며 “특히 타결 전에도 도민들을 위해 첫차 운행을 해주신 것에 대해 도민을 대표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서로 간에 조금씩 양보하며 합의해 주신 노측과 사측 모두께 감사하다"며 “노사 합의가 빛날 수 있도록 근무 여건과 경영 여건을 개선하는 데 경기도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양측은 2교대제 근무 전환과 공공관리제 노선 임금 인상안을 두고 팽팽히 맞섰다.
그러나 협상 끝에 2027년부터 민영제 노선에도 공공관리제 수준의 임금과 근무형태를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합의했으며 올해 임금 인상률은 민영제 9.5%, 공공관리제 8.5%로 결정됐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경기도 버스 노사 협상장을 방문, 노동자측 관계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이번 극적 타결의 이면에는 김 지사의 적극적인 중재 노력이 있었다.
김 지사는 취임 이후 매년 버스 노사 협상 현장을 직접 찾으며 갈등 해결에 나섰으며 특히 지난해 10월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졌을 때는 임금 격차 해소 방안을 직접 제시하며 노사 합의를 이끌어낸 바 있다.
김 지사는 “저도 사실은 밤잠을 거의 못 자고 상황을 지켜보며 가슴이 조마조마했다"며 “앞으로도 도민들의 교통 편의를 최우선으로 두고 노사와 함께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도는 이번 합의로 버스기사의 처우 개선과 더불어 안정적인 대중교통 운영을 병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김 지사는 “도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대중교통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도정의 최우선 과제"라며 “경기도가 노사와 함께 책임 있는 파트너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재차 다짐했다.
이번 합의로 도는 대규모 교통 혼란을 피했을 뿐 아니라 버스업계의 고질적인 임금 및 근무형태 갈등 해소에도 한 발 더 다가섰다.
도민들의 발이자 생활 인프라의 핵심인 버스 운영 안정성 확보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