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중앙회.
수협중앙회가 어업인과의 협력으로 어선 전복 사고에서 승선원 전원을 구조해 냈다.
26일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25일 오후 5시 22분경 수협중앙회 안전조업상황실과 목포어선안전조업국 등 20개 어선안전조업국에 승선원 8명을 태운 24톤급 근해안강망 어선 제1성지호로부터 조난신호가 수신됐다.
안전조업상황실은 즉시 목포어선안전조업국에 상황확인을 요청하고 목포어선안전조업국에서는 제1성지호 선장과 연락해 어선이 침수 중임을 확인했다.
목포어선안전조업국은 제1성지호에는 신속히 구명조끼 착용을 지시하는 한편 주변 어선을 대상으로 구조협조 방송을 실시했다. 동시에 어선안전관리시스템을 활용해 사고해역 인근 조업선 제85수복호 등 10척에 적극적인 구조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 목포해경, 서해어업관리단 등 유관기관에 사고사실을 신속히 통보했다.
사고해역 인근에서 조업 중이던 제85수복호는 목포어선안전조업국으로부터 구조협조 요청을 받자 바로 조업을 중단하고 신속하게 사고해역으로 이동했다. 현장에 도착한 제85수복호는 사고발생 약 30분 만에 전복된 제1성지호 선체 위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승선원 8명 전원을 무사히 구조했다.
구조된 선원들은 제85수복호에 올라타 오후 11시 55분경 목포 북항에 안전하게 입항했다. 경미한 타박상과 저체온증을 호소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이번 사고는 반복적인 어업인 안전조업교육을 성실히 이행한 어업인의 침착한 대응과 주변 어선의 적극적인 구조 참여가 만들어낸 값진 결과로, 덕분에 골든타임 안에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수협중앙회에서는 어업인 안전조업 교육을 내실화하고, 안전관리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어업인이 안전하게 조업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수협중앙회는 어선의 위치확인과 조난신호 수신 등 안전조업 지원을 위해 지난 2012년부터 3개년에 걸쳐 어선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어선안전조업법'에 따라 매년 어업인 안전조업교육을 실시하고 조난통신 방법, 구명설비(구명뗏목·구명조끼) 사용법, 심폐소생술, 소화기 사용법 등 해상에서 사고 발생 시 행동요령에 대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참여형 교육 프로그램도 실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