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APEC 경주서 MOA…K-조선 기술력에 美 방산 시장 동맹
美 함대 수요, 건조 속도가 못 따라가…‘압도적 생산성’ 수혈 절실
▲HD현대·헌팅턴 잉걸스 인더스트리즈(HII). 사진=각 사 제공
HD현대가 미국 최대 방산 조선사인 헌팅턴 잉걸스(HII)와 손잡고 미 해군의 '떠다니는 보급 창고'를 미국 현지에서 직접 생산한다.
26일 HD현대는 APEC 2025가 열린 경북 경주에서 헌팅턴 잉걸스와 '상선 및 군함 설계·건조 협력에 관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가 공동 생산할 '차세대 군수 지원함'은 전투함이 항구에 복귀할 필요 없이 바다 한가운데서 연료와 탄약, 식량을 보급받도록 하는 '함대의 생명줄'이다.
이번 MOA는 세계 1위 K-조선 기술력이 미국 방산 시장의 심장부로 진출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특히 미 해군의 막대한 함정 건조 수요를 자국 조선소의 생산성이 따라가지 못하는 미국의 '속사정'이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합의의 배경에는 미국 조선업의 고질적인 '생산성' 문제가 있다.
미국은 세계 최강의 군함을 설계하지만 건조 과정에서는 정해진 예산과 납기를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미 해군의 함대 증강 계획에 비해 조선소의 건조 속도가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헌팅턴 잉걸스의 에릭 츄닝 부사장이 “미국 조선 산업의 기반을 혁신하고 생산성을 제고하길 기대한다"고 밝힌 것은 사실상 HD현대의 첨단 제조 공법과 압도적인 '공정 관리 능력'을 수혈받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번 MOA의 핵심은 '미국 현지 공동 생산'이다.
단순히 설계도를 제공하거나 배의 일부은 블록 모듈을 수출하는 것을 넘어 양사가 미국 내 조선 생산시설을 공동으로 인수하거나 신규 설립하는 데 투자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HD현대가 HII의 뉴포트 뉴스·잉걸스 등의 조선소에 K-조선의 효율적인 시스템을 이식하고, '메이드 인 USA' 군함을 함께 생산하는 파트너로 격상됨을 의미한다.
나아가 양측은 미 해군과 동맹국 함정에 대한 유지·보수(MRO) 사업과 '엔지니어링 합작 회사' 설립까지 검토한다. 사실상 군함의 설계·건조·사후 관리 등 전 과정을 함께하는 '조선 동맹'을 결성한 셈이다.
주원호 HD현대중공업 사장은 “미 해군 사업 공동 참여와 미국 내 생산 거점 확보라는 실질적 협력"이라며 “한국의 첨단 조선 기술과 미국의 방산 시장 경쟁력이 강력한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