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강세론자도 “곧 하락한다”…글로벌 증시 고점찍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04 16:20


US-ECONOMY-MARKETS

▲뉴욕증시 트레이더(사진=AFP/연합)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지속적인 상승 랠리를 이어온 글로벌 증시가 곧 하락할 수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월가의 대표적인 강세론자마저 조정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투자자들의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대표적 강세론자로 알려진 야데니 리서치의 에드 야데니는 “시장에서 강세론이 난무하고 있다"며 “지난 6개월간의 폭등세가 거의 모든 경고를 무시한 채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랠리가 이미 너무 앞서간 것은 아닌지, 그리고 남은 두 달 동안 지속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며 “시장 폭이 좁은 상황에서 단 한 번의 돌발 변수로도 주가가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제시했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의 연말 목표치 달성에 의문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뉴욕증시의 대표 지수인 S&P500 지수는 지난 4월초 이후 37% 가량 급등했다. 이같은 기록적인 상승률은 1950년 이후 다섯 번째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야데니는 S&P500 지수가 올 연말까지 7000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S&P500 지수가 연초부터 10월까지 10% 이상 상승할 경우 같은해 11~12월에도 추가로 4.2%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1938년 11~12월에는 3.8% 하락한 사례도 있다. 올해 들어 S&P500은 10월까지 16% 상승한 상태다.



특히 11월은 S&P500 지수가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시기로 꼽힌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30년간 S&P500 지수의 11월 평균 상승률은 2.5%로 집계됐다.


또 다른 강세론자로 알려진 펀드스트랫 글로벌 어드바이저의 톰 리 리서치 총괄은 “10월의 상승을 소화하는 기간이 있겠지만 월 기준으로 봤을 때 11월 역시 상승세로 마감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야데니는 “연말까지 S&P500이 고점 대비 최대 5% 조정을 받을 수 있다"며 “투자심리와 기술적 지표가 모두 과열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S&P500 지수가 200일 이동평균선보다 약 13% 높게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역사적으로 과열로 해석되는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야데니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29일까지 실시된 '인베스터스 인텔리전스' 주간 조사에서 '강세 대비 약세' 비율은 4.27로 집계됐다. 이는 과열 신호로 여겨지는 4.00을 넘어선 수준이다. 또 미국 개인투자자협회(AAII)의 주간 설문에서도 강세 비율이 역사적 평균(37.5%)을 최근 7주 중 5번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가 주요 인사들도 이와 비슷한 경고음을 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캐티탈그룹의 마이크 기틀린 최고경영자(CEO), 모건스탠리의 테드 픽 CEO,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CEO 등은 증시가 향후 12~24개월 이내 10% 이상 하락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기틀린 CEO는 “기업 실적은 탄탄하지만 밸류에이션이 문제"라고 지적했고 픽 CEO는 “거시경제적 영향이 아니더라도 증시가 10~15% 하락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이들은 이번 조정이 장기 약세의 신호라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숨 고르기'로 보고 있다.


솔로몬 CEO는 10~15% 조정이 상승 사이클에 흔하게 일어날 수 있다며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 등을) 재평가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증시가 조정을 받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골드만삭스는 고객들에게 시장 타이밍을 맞추려 하지 말고, 포트폴리오를 점검하며 장기 투자를 지속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야데니 역시 “연말에는 투자자들이 낙관적인 경향이 강해 쉽게 무너지진 않을 것"이라며 “현금이 있다면 조정 시마다 매수하는 전략은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큰 폭의 하락을 예상해 미리 매도에 나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단기적으로 10% 이상 하락하는 대규모 조정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