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안과학회 “근시, 소아 ·청소년 유병률 급증…고1 75%”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06 14:23

시력이상 청소년 비율 57%, 40년 전의 6배

녹내장·망막질환 등 악영향…조기검진 중요

대한안과학회 2025 팩트시트 발표회에 참석한 학회 상임진. 왼쪽부터 홍보간사 엄영섭, 홍보이사 고재웅, 기획이사 유정권, 이사장 김찬윤, 총무이사 김

▲대한안과학회 2025 팩트시트 발표회에 참석한 학회 상임진. 왼쪽부터 홍보간사 엄영섭, 홍보이사 고재웅, 기획이사 유정권, 이사장 김찬윤, 총무이사 김태임, 부총무이사 한경은. 사진=대한안과학회

대한안과학회(이사장 김찬윤, 세브란스 안과병원 교수)가 6일 서울시내 한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5 눈의 날 팩트시트'를 발표했다. 올해 주제는 '근시, 관리하면 오래 봅니다'로, 매년 10월 둘째 주 목요일 '눈의 날'이 추석 연휴와 겹치는 바람에 이날 언론과 만난 것이다.


김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근시 조기 진단과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소아청소년기 근시를 방치하면 성인기 녹내장, 망막질환, 백내장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며, 정기검진과 올바른 생활방식을 통해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근시는 망막 위에 맺혀야 하는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며 먼 거리의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는 질환이다. 책이나 컴퓨터 모니터 등 사물에 눈이 가까이 가야 제대로 보인다.



안과학회에 따르면 한국, 대만, 싱가포르, 중국, 일본을 포함하는 극동아시아는 근시 유병률이 80∼90%에 육박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입학 후 매 3년마다 실시하는 2024년도 건강검진 결과를 보면, 시력 이상(나안시력 한쪽이라도 0.7이하 또는 교정시력 기재)으로 판정 받은 학생의 비율은 초등학교 1학년 30.8%, 4학년 52.6%, 중학교 1학년 64.8%, 고등학교 1학년 74.8%로 학년이 높을수록 증가했다. 시력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의 비율은 40여년전 9%에서 30여년전 25%, 20여년전 47%, 10여년전 48%, 그리고 2024년에는 57%에 이르렀다.(교육부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 참조)



교육부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

▲국내 초중고생 근시 유병률 교육부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 자료=대한안과학회

성인의 근시 유병률 역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2008∼2012년, 2017∼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만 40세 이상 성인의 연도별 성인 근시 유병률을 표준화한 자료를 보면 성인 근시 유병률은 2008년 34.9%에서 2012년 41.7%, 2017년 49.4%, 2020년 53%로 꾸준히 증가했다.



방치된 근시는 성인기 실명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학회는 팩트시트를 통해 △근시 환자는 망막박리 위험이 일반인보다 약 8배 높아진다는 점 △고도근시(-6.0디옵터 이상)는 녹내장 발생 위험이 4.6배 높아진다는 점 △초고도근시(-8.0디옵터 이상)는 백내장 발병률이 최대 5.5배 높아진다는 점 △근시가 심할수록 시야 결손과 황반변성이 빠르게 나타난다는 점 등을 경고했다.


무엇보다 5∼18세의 연령대는 치명적인 안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고도근시(-6 디옵터 이상) 유병률이 높게 집계되고 있다.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7)에서는 5∼18세 연령대에서 -0.50 디옵터 이상의 근시가 65.4%, 고도근시가 6.9%였다. 근시 유병률은 5세에 15%였고, 7세부터 가파르게 늘어서 13세에는 76%로 증가했다. 고도근시 유병률도 11세에 6.8%였고, 16세이후 20%였다.


최근 연구논문에서도 결과는 다르지 않다. 2013∼2022년 군신체검사를 받은 서울지역 19세 남성에서 근시 유병률은 70.7%, 고도근시 유병률은 20.3%였다. 각각 해마다 0.61%, 0.33%씩 유병률이 증가했는데, 이러한 추세에 따르면 2050년 근시 유병률은 90.9%, 고도근시 유병률은 31.3%로 증가할 것으로 학회는 예측한다.


이날 발표를 맡은 안과학회 유정권 기획이사(고려대 안암병원 안과 교수)는 “근시는 단순한 굴절 이상이나 시력 저하가 아닌, 잠재적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병적 안질환의 출발점으로 인식하고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근시는 유전적 원인 외에도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활용한 근거리 작업의 증가와 야외활동 부족이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학회는 '하루 2시간 이상의 야외활동'이 근시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권고했다.


오랜 시간 스마트기기 사용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책을 보는 거리는 30∼35㎝(컴퓨터 화면은 약 50㎝)가 적당하며, 최대 45분 이상 근거리 작업을 하지 않도록 작업 시간을 조절해야 한다.


근시가 더 심각한 안질환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정기검진이다. 학회는 6세 이후의 소아청소년은 매년 안과검진을, 40세 이상의 성인은 1년에 한 번 이상 안저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한다. 안저검사는 사진을 찍듯 눈 내부를 촬영하는 검사로, 망막이나 망막혈관, 시신경 등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검사 결과 근시 환자에게 비문증(날파리증), 광시증(빛 번쩍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이는 망막박리의 전조 증상 가능성이 있어 전문의 검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김 이사장은 “시력은 조기에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일단 실명이 진행되면, 시력을 다시 회복하지 못하는 환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근시가 있다면 생활방식 교정과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악화하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박효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