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1000대 기업 수익성 20년새 반토막···인센티브 구조 개선해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10 12:00

대한상의 ‘매출액 1천대 기업의 20년 수익성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

출처=대한상공회의소.

▲출처=대한상공회의소.

우리나라 '1000대 기업'의 수익성이 20년 사이 반토막난 것으로 조사됐다. 분위기 반전을 위해서는 기업규모에 따른 역진적 인센티브 구조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재설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매출액 1000대 기업의 20년 수익성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기업들은 2004년만 해도 자산 1억원으로 420만원의 수익을 남겼는데 지난해에는 220만 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년간 총자산영업이익률이 4.2%에서 2.2%로 크게 떨어졌다는 뜻이다. 총자산영업이익률은 영업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지표다.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수익을 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주지환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경제성장은 부가가치 확대를 통해 이뤄지며 기업의 수익성은 부가가치 확대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라며 “기업 채산성 지표를 통해 경제의 활력을 가늠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국내 기업의 채산성이 큰 폭으로 악화된 만큼 그간의 지원정책이 기업의 성장 역량 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했는지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이 같은 추세가 장기화될 경우 기업의 투자·고용·혁신성이 연쇄적으로 둔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경제 전반의 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한계기업 보호정책은 자원배분의 비효율성만 고착시킬 수 있다는 진단도 내놨다. 한국은행 분석을 보면 생태계에서 한계기업이 10% 포인트 늘면 정상기업의 매출액증가율(성장성)과 총자산영업이익률(수익성)은 각각 2.04% 포인트, 0.51% 포인트 하락한다. 정책의 방점이 혁신기업보다는 한계기업의 연명에 찍히다 보니 부정적 외부효과를 양산하게 되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보고서는 기업의 수익성을 반전시켜 국가경제를 성장시키려면 기업규모에 따른 역진적 인센티브 구조를 해소해야 한다고 짚었다. 또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성장과 수익을 이뤄내는 기업에 리워드(보상)를 주는 방식으로 정책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업들의 성장의지를 북돋고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제고하자는 취지다.


보고서는 중소기업 상장사 중 '총자산영업이익률' 상위 100개 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한다면 단순 계산해 봐도 5조4000억원의 부가가치를 추가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기준 이들 기업의 평균 총자산영업이익률은 17.1%다. 자산합계 18조2000억원을 활용해 3조1000억원의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정책지원을 통해 중견기업(자산규모 5000억원)으로 성장한다면 50조원 규모 자산으로 8조5000억원의 수익을 벌어들일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수익이 줄어드는 기업을 보호하기 보다는 수익이 늘어나는 기업을 장려하는 것이 성장률을 제고하는 길"이라며 “기업이 계단식 규제 때문에 스스로 성장을 피하는 피터팬 증후군을 선택하는 모순이 사라질 수 있도록 기업성장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